책거리
미국의 거대 서점 체인 ‘반스앤드노블’은 한때 스타벅스 커피, 음반, 게임, 장난감 등 ‘책이 아닌 것’들을 팔면서 자본력을 앞세워 ‘골목상권’에까지 공격적인 확장을 시도했는데, 이런 상황은 영화 <유브 갓 메일>(1998)의 배경으로도 쓰인 바 있죠. 그러나 아마존 등 인터넷서점의 전성기가 찾아오면서 반스앤드노블 역시 매출이 반토막 나는 등 위기에 빠졌고, 2019년 헤지펀드에 매각되고 맙니다. 그런데 그게 끝은 아니었습니다. 새 최고경영자(CEO)가 된 영국의 서점인 제임스 던트의 지휘 아래 반스앤드노블은 올해 30개 매장을 새로 열기로 하는 등 10년 만에 다시 확장을 꾀하고 있다고 합니다.
“위대한 서점은 그것이 존재하는 공동체의 반영”이라는 철학 아래, 던트는 서점의 운영을 각 점포에 맡기고, 그동안 본사 이익의 극대화를 위해 출판사로 하여금 ‘매대 진열’에 돈을 내게 했던 거래도 하지 말도록 했습니다. 진열과 재고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게 된 서점들은 지역별 특색에 맞게 공간을 꾸려나갔는데, 이것이 사람들을 다시 불러들인 핵심 요인이 됐다 합니다. 국내에서도 조명받고 있는, ‘동네책방’(독립서점)들이 찾아낸 길과 다르지 않습니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에즈라 클라인이 반스앤드노블의 부활을 두고 “독립서점의 적이 아닌 동맹”이라 평가한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입니다.
던트가 강조하는 것은 온라인 세계에선 찾을 수 없는 경험, 한마디로 ‘우연한 마주침’(serendipity)입니다. 사람들이 그저 무의미하게 스쳐지나기만 했던 ‘경계 공간’이었던 곳도, 의미 있는 만남이 피어나는 ‘제3의 장소’로 바뀔 수 있습니다. 책이 그렇게 만듭니다.
최원형 책지성팀장 circle@hani.co.kr
게티이미지뱅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책&생각] 연말의 빚 독촉 [책&생각] 연말의 빚 독촉](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12/127/imgdb/child/2023/1229/53_17038095946068_202312295001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