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주의·발전주의 역사 속 비규범적 존재
주체의 경험에 초점 둔 LGBTI 연구
주변화된 존재들이 드러내는 체제 모순
신자유주의 시대 퀴어는 무엇을 말하나
주체의 경험에 초점 둔 LGBTI 연구
주변화된 존재들이 드러내는 체제 모순
신자유주의 시대 퀴어는 무엇을 말하나

한현모 감독의 영화 <질투>(1960)의 한 장면. <퀴어 코리아>는 ‘게이는 없다’ 신화를 깨뜨리고 한국 근현대사에서 주변화된 성적 주체들의 다양한 양태와 의미를 톺아본다. 한국영상자료원 자료. 산처럼 제공

주변화된 성적 주체들의 한국 근현대사
토드 에이(A). 헨리 편저, 성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크 옮김 l 산처럼 l 3만5000원 1990년대 말 한국어 공부차 한국에 왔던 역사학자 토드 헨리(미국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 역사학과 교수)는 당시 “한국에는 동성애자가 없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고 한다. 물론 금세 그것이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이런 ‘노 게이 신화’(no gay myth)가 발화될 정도로 한국 사회에 만연한 ‘퀴어 무지’의 배경에는 성소수자의 경험을 더욱 주변화시켰던 한국 사회의 고유한 맥락이 있다. 토드 헨리가 엮고 다양한 학제에서 연구 활동을 하는 성수소자 연구자와 성소수자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의 모임 ‘성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크’가 우리말로 옮긴 <퀴어 코리아>는 “한국 근대성의 비자유주의적 밑바닥”에서 “비규범적 섹슈얼리티와 젠더 변이의 실천이 어떻게 지속해서 무시되거나 잊혀왔는지” 톺아보는 책이다. 일제강점기와 후기 식민주의적 권위주의 시대를 지나온 한국 사회에서 ‘규율할 수 없는’ 것들, 곧 ‘퀴어성’은 압도적인 규범성 아래에 짓눌려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어느 시대에나 규율할 수 없는 주체들은 나름의 방식으로 스스로를 드러냈고, ‘정상성’을 강요하는 권력과 벌여온 이들의 끊임없는 줄다리기는 한반도의 모든 주민을 짓누르는 모순적인 구조에 대해 비판적 통찰을 제공한다. 듀크대에서 펴내는 ‘비뚤어진 근대성들’ 시리즈의 하나로 출간됐다. 책에는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시대순으로 한국 사회의 퀴어성을 다루는 다양한 필자의 다양한 글들이 실렸는데, 토드 헨리가 쓴 서장에서 이들이 공유하는 어떤 방향성을 먼저 읽을 수 있다. 그동안 서유럽과 북미를 뿌리로 삼는 퀴어 연구는 원자화된 엘지비티아이(LGBTI) 개인의 권리 획득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의 자유주의 모델에 주로 기댔는데, 그 한계를 넘어 다양하고 복합적인 정체성들의 “역사적 힘과 반체제적 주체성”을 읽어낸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아시아 국가들에서 가족과 국가의 유독 압도적인 규정력은 자신의 지향을 유지하면서도 가족과의 유대를 유지하려는 다양한 실천들을 낳는 기제가 되며, 그 역동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퀴어 연구의 중요한 초점이 된다. 1920년대 중반 조선의 여학교에서 동성 간 사랑이 유행했던 현상을 들여다본 ‘사랑을 문제화하기’(첸페이전)를 보자. ‘여류 명사’들이 잡지에서 여학교 시절 자신들의 경험을 후일담처럼 이야기할 정도로 당시 여학교에서 동성 간 사랑이 유행했고, 이는 때로 ‘동반 자살’이란 극단적인 형태로 끝을 맺곤 했다. 천페이전은 당시 식민지에서 ‘사랑’이란 이름으로 추구된 근대성은 ‘개인의 해방’을 약속했으나, “지속가능하고 재생산적인 이성애” 말고는 끝내 허락하지 않는다는 모순을 짚어낸다. 사랑은 재생산이 가능한 미래를 약속(‘재생산 미래주의’, 리 에델만)하는 이성애에만 보편적이다. ‘예외’에는 동반 자살처럼 ‘불가능한 미래성’만 주어진다. 이 예외는 근대화 혹은 민족국가 건설의 걸림돌이 아니라, 재생산을 요구하는 지배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희생양으로서의 타자다. 이를 뒤집으면, 예외적 존재들이 드러낸 퀴어성은 지배 권력의 억압이 어떤 것인지 사유하게 하는 대안적 실천이 된다.

이성애규범성을 앞세워 동성 부부의 사례와 사진을 실은 <동아일보> 1965년 4월2일치 신문. 산처럼 제공

동성 부부의 공개 결혼식 사진을 실은 <주간한국> 1970년 9월27일치 지면. 당시 언론은 동성 결혼을 관음증적 시선으로 이성애규범적으로 ‘교훈’하는 방식으로 다룸으로써 “퀴어를 착취”했다. 산처럼 제공

코미디언 구봉서가 여장한 기생으로 나오는 영화 <남자(와) 기생>(1968)의 홍보 포스터. 산처럼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