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책&생각] 가십

등록 2023-03-10 14:23수정 2023-03-10 14:26

책거리

멕시코 화가 로돌프 모랄레스(1925~2001)의 작품 ‘길을 그리다’(1990). “여성의 몸이 공동체를 이어주고 유지하는 물질적 토대이자 사회적 구조라는 것을 주요 주제로” 삼고 있다.
멕시코 화가 로돌프 모랄레스(1925~2001)의 작품 ‘길을 그리다’(1990). “여성의 몸이 공동체를 이어주고 유지하는 물질적 토대이자 사회적 구조라는 것을 주요 주제로” 삼고 있다.

<캘리번과 마녀>(2004) 등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페미니스트 실비아 페데리치(81)의 책 <우리는 당신들이 불태우지 못한 마녀의 후손들이다>(갈무리)를 보다가 몰랐던 사실을 또 하나 알았습니다. 주로 여성들이 뒤에서 서로를 헐뜯는 대화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는 ‘가십’(gossip)은 원래의 의미가 정반대로 변한 것이라 합니다. “고대 영어 단어인 god(신)과 sibb(혈족)에서 유래한 가십은 본래 세례를 받는 아이와 영적 관계를 맺는 대부모(godparent)를 의미했다.” 강한 감정을 동반하는 유대관계를 가리키는 말인데, ‘친밀한 여성 친구’ 등 여성 중심의 관계에 주로 쓰였다고 하네요.

옛날엔 이처럼 긍정적인 의미로 쓰였던 말이, 가부장제가 고착되고 남성 권력이 굳건해지면서 아예 정반대로 바뀌어버렸습니다. 16세기부터 스코틀랜드·잉글랜드 등에서 쓰였던 ‘잔소리꾼 굴레’(scold’s bridle)라 불리는 도구가 ‘가십 굴레’라고도 불렸다는 사실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재갈과 징으로 혀를 누르고 찔러 말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이 끔찍한 고문도구는, 남성에게 순종하지 않고 자기 말을 하려는 하층 여성들의 머리에 주로 씌웠습니다. 우정과 애정을 뜻했던 여성의 말이 폄하와 조롱을 품은 의미로 뒤바뀐 겁니다.

페데리치는 지구 곳곳에서 여성은 역사적으로 “기억을 엮어 짜는 사람들”(weavers of memory), 곧 과거의 목소리를 미래로 전달시켜 공동체를 가능하게 만드는 존재였다고 새깁니다. 그러니 여성의 말을 조롱하고 폄하해 끝내 침묵시키는 것은 공동체 전체를 무너뜨리는 일과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에겐 더 많은 ‘가십’이 필요합니다.

최원형 책지성팀장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디즈니+강풀, ‘무빙 시즌2’ 제작 공식 발표 1.

디즈니+강풀, ‘무빙 시즌2’ 제작 공식 발표

“우리 세대의 일은, 우리 세대에서 끝내자” 2.

“우리 세대의 일은, 우리 세대에서 끝내자”

내 취향에 맞는 우리동네 책방, 직접 찾아보세요 3.

내 취향에 맞는 우리동네 책방, 직접 찾아보세요

우울한 20돌…‘리움’다운 전시가 안 보인다 4.

우울한 20돌…‘리움’다운 전시가 안 보인다

‘국민화가’ 박수근 손자가 그린…그림이 된 그림자 5.

‘국민화가’ 박수근 손자가 그린…그림이 된 그림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