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4월 7일 문학 새 책

등록 2023-04-06 19:36수정 2023-04-06 19:56

■  느티나무 수호대

이주민들이 어울려 사는 대포읍. 마을 느티나무의 정령인 ‘느티 샘’이 아이들을 돌본다. 주민들 안식처였던 느티 언덕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아이들이 나선다. “이 기억의 숲을 미래의 숲으로 바꿔 주길 바라거든.”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김중미 지음 l 돌베개 l 1만4000원.





■  홍어

돌연 지역 차별의 언어가 되어버린 ‘홍어’의 시에 의한 복원. 음식은 약속이고 문화이고 정신. “보고 싶다는 말 대신/ 자식이 좋아하는 홍어/ 택배로 보낸다/ 속살 꽃잎처럼 저며서/…” 피나게 사랑하는 홍어의 몸짓까지 빌려.

전라도 시인 문순태 지음 l 문학들 l 1만원.




■  패스토럴리아

2017년 맨부커상을 받았고 글쓰기 강의로도 유명한 미국 작가 조지 손더스의 두번째 단편집. 놀이공원서 동굴 캐릭터를 담당하거나, 퇴물로 전락 중인 남자 스트리퍼 등 독특한 인물을 빚었다. 누군가 그를 “현존하는 영미권 최고 단편작가”로 꼽는 이유.

정영목 옮김 l 문학동네 l 1만5000원.




■  해저도시 타코야키

기후위기 알람은 어느새 ‘울려봤자’ 취급이다. 상투화한 관념에 맞서는 자리가 문학인 양 기후소설(Cli-fi)도 하나의 장르가 되어 왔다. 김청귤 작가가 육상의 절멸 뒤 펼쳐 보이는 심해 판타지, 6편의 연작소설집. “살고 싶어서” 제각기 바다로 들어간다.

래빗홀 l 1만5000원.




■  앨프리드와 에밀리

2007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영국 작가 도리스 레싱(이란 출생, 1919~2013)의 유작으로 국내 초역. 전작들에서 보였던 1차대전 세대 부모에 대한 적의를 삭인 채, 그의 부모가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살았을 수도 있을 삶을 빚어주려 했다.”

민은영 옮김 l 문학동네 l 1만6000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