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거리
밀란 쿤데라(1929~2023)는 40년 가까이 언론 매체 등에 절대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채 ‘자발적 실종자’로 살다 세상을 떠났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프랑스 저널리스트 아리안 슈맹의 <밀란 쿤데라를 찾아서>(뮤진트리)는 쿤데라의 생애에 대해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맥락들을 드러내어 줍니다.
체코 출신으로 1975년 프랑스로 망명한 이 작가를, 단순히 ‘어둠을 피해 빛을 찾았다’는 식의 서술로는 제대로 설명해낼 수 없습니다. 비밀경찰의 감시와 탄압을 피해 프랑스에 온 쿤데라를, 프랑스 언론은 ‘공산주의에 저항하는 참여 지식인’으로 못 박았습니다. 성공작 <농담>(1967)은 그저 “스탈린 시대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증언”으로 소개됩니다. “거대한 오해가 그렇게 시작”됐습니다. ‘참여 지식인’에 대한 환호는 점차 잦아들고, <향수>(2000)부터 그의 책은 프랑스 아닌 외국에서 먼저 출간이 됩니다. 슈맹은 쿤데라가 체코뿐 아니라 ‘자유 프랑스’에서도, “어디에서도 평안을 느끼지 못”했다고 지적합니다.
그 대신 1963~1968년 체코를 회상하며 “그건 다른 공산주의였다”고 옹호하는 쿤데라의 아내 베라의 말이 인상 깊습니다. 이미 1963년께부터 체코 지식인들은 소련 체제에 이의를 제기하기 시작했고, 쿤데라 자신은 1967년 작가회의에서 “문학에 본래의 지위와 존엄성을 되돌려주어야 한다”는 연설을 합니다. 이들이 모색했던 새로운 가능성은 1968년 ‘프라하의 봄’으로 폭발했으나, 소련 군대의 발빠른 진압으로 결국 무산되고 맙니다. 그렇게 역사에서 사라져버린 그 가능성의 이름은, 바로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였습니다.
최원형 책지성팀장 circle@hani.co.kr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 진주한 소련 군대의 탱크 옆에서 시민들이 체코슬로바키아 깃발을 휘두르며 지나가고 있는 모습. 위키미디어 코먼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