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학자·백인 게이의 에세이
퀴어성, HIV 위기, 코로나 사태 등
개인·체제의 폭력 속 ‘백인성’ 비판
“모든 이를 함께 돌보는 것” 숙제
퀴어성, HIV 위기, 코로나 사태 등
개인·체제의 폭력 속 ‘백인성’ 비판
“모든 이를 함께 돌보는 것” 숙제
코로나바이러스와 이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인 마스크, 퀴어성을 나타내는 무지개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그림. 게티이미지뱅크
뉴욕의 백인 게이 바이러스 학자가 써내려간 작은 존재에 관한 에세이
조지프 오스먼슨 지음, 조은영 옮김 l 곰출판 l 2만3000원 코로나 팬데믹이 한창일 때, ‘바이러스와의 전쟁’이란 은유가 대두했다. 이때 바이러스는 생명을 앗아가고 죽음을 불러오는 위협으로 상상된다. 이에 대한 대응 역시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비상사태를 정상사태로 되돌리는 행위, 곧 전쟁으로만 귀결된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 에볼라바이러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등 소수의 극단적인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전체를 대표할 순 없다. “각각의 바이러스는 행동이 완전히 다르고, 들려주는 이야기도 제각각이다. (…)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바이러스를 ‘적’이라 안이하게 상상하는 것은, 우리가 정말로 해야 할 일들을 가로막는 데 기여할 뿐이다.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생물학자, 에이치아이브이란 잠재적 위협 아래 사랑과 섹스를 해온 게이 남성, 그리고 수전 손택(‘은유로서의 질병’)과 오드리 로드(‘암 일지’)의 글을 사랑하는 사람만큼 이 문제를 깊이 생각해본 사람이 또 있을까. 조지프 오스먼슨 미국 뉴욕대 교수의 에세이 ‘바이러스, 퀴어, 보살핌’은 ‘코로나 일기’를 바탕으로 풀어낸, 한마디로 ‘퀴어의 바이러스학’(원저 제목이 ‘Virology’다)이다. “바이러스의 방식은 번식과 복제, 그리고 대량 생산”인데, 때로 그것은 숙주인 생명체를 죽이기도 한다. 인체 내 면역세포를 죽이는 에이치아이브이가 발견된 1983년 이래, 이 사실을 가장 뼈저리게 새기고 살아남기 위해 노력해온 것은 누구보다 게이들이었다. 전염성 앞에선 늘 그랬듯, 에이치아이브이는 1980년대 ‘바이러스를 옮긴다’며 “우리”에 포함되지 않는 퀴어나 흑인에게 폭력을 가하는 빌미가 됐다. 지은이는 미국 사회에 뿌리박은 ‘전쟁’의 은유, 그리고 그 원천인 ‘백인성’을 고발한다. 자본주의와 노예제에 기대어 탄생한 백인성이란 “폭력을 통해 주체성과 통제력을 소유”하려는 성질로, 자신이 ‘타인’에게 끼칠 해악은 보지 않고 그저 ‘우리’에게 허락된 자유만을 중시한다. 소수자에게만 전염의 혐의를 뒤집어씌우고, ‘개인의 자유’를 앞세워 마스크 착용이나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등 코로나 팬데믹 때에도 이런 ‘백인성’이 여지없이 드러나지 않았던가.
‘바이러스, 퀴어, 보살핌’을 쓴 생물학자 조지프 오스먼슨. 뉴욕대 누리집 갈무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