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에 영향 준 책
분류학 속 인물 통해 분류 변천사 들려줘
생명 세계 지각하는 ‘움벨트’ 필요성 강조
분류학 속 인물 통해 분류 변천사 들려줘
생명 세계 지각하는 ‘움벨트’ 필요성 강조
인류는 생존을 위해 뇌의 특정 부위에 생물을 분류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민속 분류학 연구들을 보면, 민족마다 지역마다 생명체를 부르는 이름은 다르지만, 어디서나 동일한 분류군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기도 했다. 게티이미지뱅크
보이지 않던 세계가 보이기 시작할 때
캐럴 계숙 윤 지음, 정지인 옮김 l 윌북 l 2만2000원 지난해 출판 시장을 휩쓴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과학 논픽션에 홀딱 빠져본 사람이라면, 꼭 읽고 싶어 할 만한 책이 나왔다. 저자 룰루 밀러가 직관과 진실의 충돌에 관한 놀라운 사실을 들려준다며 걷지 말고 당장 뛰어가 만나보라고 했던 그 책, ‘자연에 이름 붙이기’(Naming nature)다. 미국에서는 2009년에 출간됐지만 뒤늦게 번역돼 한국 독자를 만나게 된 이 책은 한국계 미국인 진화생물학자 캐럴 계숙 윤이 썼다. 과학자 부모 밑에서 실험용 생쥐와 함께 놀고 동네 숲을 마음껏 뛰어다니며 유년 시절을 보낸 저자는 자신이 ‘과학의 젖’을 먹고 자랐다고 표현한다. 저자는 예일대에서 생물학을 공부한 뒤 코넬대에서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뉴욕타임스에 20년 넘게 과학 칼럼을 연재해왔다. 책을 읽고 나면 룰루 밀러가 왜 이 저자와 이 책을 언급할 수밖에 없었는지 바로 이해가 간다. 분류학자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그 인물을 바탕으로 과학 이야기를 전개하는 기법은 물론이고 인간이 절대적이라고 믿는 어떤 지식 체계가 얼마나 쉽게 부서질 수 있는 것인가와 같은 ‘과학 너머의 이야기’까지 아름다우면서도 흥미진진하게 들려준다는 측면에서 두 책은 많이 닮았다. 두 작가 모두 ‘크리에이티브 논픽션’의 고수라 불릴 만하며, 어떤 것을 깊고 넓게 알면 어려운 얘기도 이렇게 쉽게 할 수 있구나 하고 감탄하며 읽게 된다. ‘자연에 이름 붙이기’는 분류학 초창기인 18세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분류학의 거대한 역사적 변천사를 다룬다. 인간이 나무, 물고기, 사자 등과 같이 생물에 이름을 붙이고 그것을 분류하고 체계화한 것이 분류학이다. 이 분류학은 혼돈투성이인 자연에서 어떤 질서를 찾아내고 그것을 개념화하고 보편타당한 기준을 바탕으로 생명의 지도를 만들고자 했던 과학자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분류학은 ‘과학적 분류의 아버지’인 카롤루스 린나이우스(라틴어 이름, 칼 폰 린네)가 이명법을 만든 뒤 학문의 하나로 자리 잡는데, 다윈이 혜성처럼 등장해 ‘진화’라는 개념을 내놓으면서 패러다임을 뒤흔들어버린다. 이후 수리분류학, 분자분류학, 분기학으로까지 이어진다.
분기학자들이 보는 연어와 폐어와 소의 진화계통수. 폐어는 폐를 통해 호흡할 수 있고 제법 긴 시간 동안 물 밖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분기학자들은 연어와 폐어보다는 폐어와 소가 더 가까운 사이라고 주장한다. 윌북 제공
‘자연에 이름 붙이기’의 저자 캐럴 계숙 윤. 메릴 피터슨(Merrill Peterson)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