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받는 생태정치학자·기후활동가 안드레아스 말름
‘화석 경제’의 시작을 찾아 19세기 초 영국으로
‘화석 경제’의 시작을 찾아 19세기 초 영국으로
그래픽 장은영 soobin35@hani.co.kr, 게티이미지뱅크
증기력의 발흥과 지구온난화의 기원
안드레아스 말름 지음, 위대현 옮김 l 두번째테제 l 3만8000원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면서 네덜란드 기후학자 파울 크뤼천(1933~2021)이 제시했던 ‘인류세’(Anthropocene)란 개념은 이제 널리 자리를 잡았다. 인류세란 말은 인간이 그 본성적인 탐욕으로 말미암아 지구라는 행성을 더이상 살 수 없는 곳으로 변화시켰다 지적하고, 종(種)적인 차원에서 그 책임을 묻는 접근을 요구한다. 그렇다면 인류세란 새 지질시대의 시작점은 과연 어디일까. 인간이 농경을 시작하면서? 산업혁명을 일으켰을 때? 인간의 흔적이 자연에 본격적으로 퇴적되기 시작한 1950년대부터? 이는 도대체 무엇이 오늘날 기후위기의 기원인가 따지는 논쟁과 맞닿는다. 스웨덴 출신 정치생태학자·기후활동가 안드레아스 말름(46)은 2016년 펴낸 자신의 첫 책 ‘화석 자본’에서 기후위기의 근원을 찾기 위해 독자들을 1820년~1830년대 영국으로 데려간다. 공장의 탄생 등 면직업종에서의 비약적인 생산력 발전으로 산업혁명이 일어난 직후, 자본주의 경제의 첫 구조적인 경기 침체가 일어났던 시기다. 지은이는 이 시기에 수력에서 증기력으로 동력 전환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집요하게 파헤치며, 오늘날 기후위기의 근원인 ‘화석 경제’가 도대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 전모를 보여준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화석 경제는 인간이란 종 전체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그 종 내부의 모순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낸 이 새로운 지질시대는 인류 전체가 아니라 화석 경제를 선택한 특정 주체의 이름으로, 곧 인류세가 아닌 ‘자본세’(Capitalocene)라 부르는 것이 마땅하다는 것이다. 먼저 지은이는 인간이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세 가지 범주로 나눠본다. 태양에서 기원한 일부 에너지원은 생물권을 통과하여 흘러가는데, 인간은 특정한 조건 아래에서 이 ‘에너지의 흐름’을 낚아채 쓸 수 있다. 이를테면 바람, 하천의 흐름 등이다. 어떤 에너지원은 인간이나 동물이 가진 근육이 지닌 힘의 형태로 생명체에 깃드는데, 이는 ‘동물력’이다. 마지막으로 아주 오래전 과거에 주어진 태양에너지를 품고 있는 ‘에너지의 재고’가 있는데,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가 여기에 해당한다. 화석연료의 출현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에너지를 더 소비하려는 (종적 차원에서) 인간의 욕망이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핍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추동해 결국 화석연료를 불태우게 되었다는 식(리카도-맬서스식)으로 설명한다. 새로운 기술의 개발, 인구의 증가 등이 이런 설명을 뒤따른다.
1835년께 뮬 방적기를 이용하고 있는 영국 면직업 공장의 모습. 위키미디어 코먼스
1784년 제임스 와트와 매슈 볼턴이 개발하여 특허를 획득한 증기기관의 그림. 위키미디어 코먼스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 있는 증기기관의 발명자 제임스 와트의 전신상. 위키미디어 코먼스
연기를 뿜어내고 있는 화력발전소 굴뚝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스웨덴 출신 정치생태학자이자 기후활동가 안드레아스 말름은 ‘인류세’ 대신 ‘자본세’란 용어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에서 생태철학을 구축해왔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