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 개념
미국 건너가 메소드 연기로 꽃피워
“위대한 생각”이자 혁명적 예술운동
20세기 정치·경제·문화의 한 단면도
미국 건너가 메소드 연기로 꽃피워
“위대한 생각”이자 혁명적 예술운동
20세기 정치·경제·문화의 한 단면도
영화 ‘성난 황소’(1980)에서 실존 복서였던 제이크 라모타를 연기한 배우 로버트 드니로. 한겨레 자료사진
20세기를 지배한 연기 테크닉
아이작 버틀러 지음, 윤철희 옮김, 전종혁 감수 l 에포크 l 4만원 배우가 어떤 배역에 완전히 녹아든 연기를 보여줄 때, 사람들은 ‘메소드 연기’라며 환호한다. ‘조커’의 호아킨 피닉스나 ‘마더’의 김혜자 등이 그런 예일 것이다. 하지만 메소드는, 미국의 평론가이자 연출가 아이작 버틀러의 ‘메소드’에 따르면, 단순한 연기 방식이 아닌 “변화를 불러오고 혁명을 일으킨 현대적인 예술운동”이면서 “20세기의 위대한 생각”이다. “세상과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꿔버릴 인간 경험을 상상하는 새로운 방법”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사실 19세기 말까지 연기는 “대개의 경우 기술적인 것”이었다. “배우가 캐릭터의 상태를 경험한다는 것” 자체가 광기와 다르지 않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그 편견에 맞선 이가 러시아의 배우이자 연출가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였다. 그는 “페레지바니예(perezhivanie)”, 즉 “배우와 캐릭터가 융합된 상태이자 두 자아가 하나로 어우러진 상태”의 배우 연기를 이상형으로 보았다. 모름지기 배우라면 “배역을 경험하면서 캐릭터가 처한 상상 속 현실을 충실히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를 “시스템”이라는 연기 테크닉으로 발전시켰다. “돈벌이를 위한 연기”와 “재현”을 뛰어넘어 “매일 밤 그 역할을 진정으로 재경험(re-experience)하려” 애써야만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유럽 투어 공연에 매진하던 스타니슬랍스키를 비롯한 모스크바 예술극장 단원들이 미국 뉴욕에 도착한 것은 1922년 12월. 일단의 신문은 모스크바 예술극장이 “폭력으로 미국 정부를 전복할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비난했지만, “미국의 대중문화” 그 자체이자 “자본주의가 세운 환상의 나라”였던 브로드웨이는 환호했다. 시스템은 미국 연극 무대를 사로잡았는데, 훗날 연극연출가가 된 리 스트라스버그는 “아무리 작은 역할도 진짜 사람처럼 느껴졌다”고 회고했다. 1930년대 초반 스트라스버그와 해럴드 클러먼 등이 창단한 ‘그룹 시어터’는 시스템을 미국 연극에 적용하여 “메소드”라는 연기 테크닉을 내놓았다.
메소드 연기의 선구자로 꼽히는 배우 말런 브랜도. 한겨레 자료사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