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연구회 서길수 교수 제안
‘현 국토의 모든 민족사가 중국역사’라는
고구려를 비롯한 북방 고대사의 권위자로 통하는 서길수 서경대 교수가 “이른바 ‘강역이론’ 중심의 중국의 역사관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14일 오전 10시부터 여의도 국회헌정기념관에서 열리는 고구려연구회 주최 학술대회를 통해 중국 동북공정의 실체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총정리한 뒤, 이런 제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미리 배포한 발표문에서 서 교수는 “한·중 학자들이 만나 토론을 할 때 (반박하기에) 가장 벅찬 논리가 바로 ‘강역이론’”이라며 “국내 학계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역사방법론을 정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역이론이란 중국의 현재 국토 범위에서 활동한 역사상의 모든 민족을 중국사의 하나로 다뤄야 한다는 중국 학계의 패러다임이다.
서 교수는 “1980년대 이후 힘을 얻은 강역이론은 결국 소수민족의 역사도 중국 역사로 모두 편입시키는 이론적 근거가 되고 있고, 고구려사에 대한 침탈도 이 논리를 바탕으로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대응 전략을 장기적이고 주도면밀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라도 국내 관련 전문가의 모든 능력을 동원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서 교수는 중국 동북공정의 27개 연구과제 가운데 3개 과제만이 고구려 관련 사항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동북공정 개시 이전에 이미 기초가 완성된 상태이고, 현재는 길림성 사회과학원 등 동북 3성을 중심으로 한 전문연구기관들이 펼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 교수는 “우리가 상대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망각하고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 문제를 이용하거나,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해서 관련 단체를 비방하는 데 힘을 낭비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했다. 옛 고구려연구재단 출신의 일부 학자들을 겨냥한 내용이다.
아울러 “앞으로 관련 기관은 많은 연구자들을 찾아내 충분히 지원하고 그 연구 결과를 실제 대응전략에 응용하는 일에 전념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출범을 앞둔 동북아역사재단이 외부 연구자들에 대한 지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주문이다. (02)337-1661.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아울러 “앞으로 관련 기관은 많은 연구자들을 찾아내 충분히 지원하고 그 연구 결과를 실제 대응전략에 응용하는 일에 전념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출범을 앞둔 동북아역사재단이 외부 연구자들에 대한 지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주문이다. (02)337-1661.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