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리케 포페 원장
‘통독 17년 강연’ 통일운동 주역 울리케 포페 원장
“북한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세세하게 아는 게 정말 중요하다.”
동독 시민운동가 출신으로 독일 통일 과정에 참여했던 울리케 포페(사진) 베를린 기독학술원 원장은 이렇게 조언했다. 포페 원장은 “1970~80년대 서독 사람들은 동독이 재미없는 나라라며 관심을 두지 않았다”며 “독일이 통일 뒤 벌인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한국은 지금부터 미리 시작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북한 사람들 생활상 세세한 이해 중요
‘동-서독’ 준비되지 않아 비싼 비용 치러
북핵 등 국제정세 영향 대비해야” 남북평화재단 초청으로 방한한 포페 원장은 특히 시민운동가들이 시민들을 대상으로 남과 북이 어떻게 다른지 다방면에 걸쳐 교육·홍보하고, 학교에서도 ‘나와 다른 사람’을 수용하는 프로그램을 짜서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준비되지 않았던’ 통일이 된 지 17년이 지났지만 독일의 통일비용은 예상보다 비쌌다고 설명했다. “동독과 서독은 말하는 방식도 일하는 방식도, 가치관·생활습관도 달랐다.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게 말처럼 쉽지 않았다. 서독 출신은 동독 출신을 ‘게으르고 멍청하고 움직이지 않는다’고 흉봤다.” 그는 “갑자기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독일은 원하지 않았던 통일이란 과제를 떠맡게 됐다”고 말했다. 당시 동독 시민운동가들은 동독 민주화를 원했지 통일을 원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90년 당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옛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독일 통일에 찬성했던 것을 두고 통일을 위한 ‘역사적 시간의 창’이 열렸다고 그는 설명했다. 미-소 관계 변화 등이 독일 통일에 큰 영향을 끼쳤듯이 북핵 문제 등 국제정세의 호전이 남북 통일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란 예측이다. 포페 원장은 한국이 독일보다 통일을 잘 할 수 있는 이유로 △독일은 보고 배울 사례가 없었지만 한국은 독일 통일 선례에서 배울 수 있고 △제2차 세계대전으로 독일의 민족감정은 엄청난 상처를 입었지만 한국은 온전한 민족감정을 간직하고 있고 △독일 문화가 개인 중심인 데 비해 한국은 공동체 중심이란 점 등을 들었다. 그는 민간과 정부가 여러 차원에서 사전에 통일 준비를 하면 한국은 독일 같은 실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70년대부터 동독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동독 풀뿌리시민운동의 지도자였다. 1989년 11월 ‘독일 통일을 위한 중앙원탁회의’에 참여해 동독 국민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원탁회의는 통일 과정에서 많은 부분 정부와 의회 기능을 맡았다. 글·사진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동-서독’ 준비되지 않아 비싼 비용 치러
북핵 등 국제정세 영향 대비해야” 남북평화재단 초청으로 방한한 포페 원장은 특히 시민운동가들이 시민들을 대상으로 남과 북이 어떻게 다른지 다방면에 걸쳐 교육·홍보하고, 학교에서도 ‘나와 다른 사람’을 수용하는 프로그램을 짜서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준비되지 않았던’ 통일이 된 지 17년이 지났지만 독일의 통일비용은 예상보다 비쌌다고 설명했다. “동독과 서독은 말하는 방식도 일하는 방식도, 가치관·생활습관도 달랐다.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게 말처럼 쉽지 않았다. 서독 출신은 동독 출신을 ‘게으르고 멍청하고 움직이지 않는다’고 흉봤다.” 그는 “갑자기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독일은 원하지 않았던 통일이란 과제를 떠맡게 됐다”고 말했다. 당시 동독 시민운동가들은 동독 민주화를 원했지 통일을 원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90년 당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옛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독일 통일에 찬성했던 것을 두고 통일을 위한 ‘역사적 시간의 창’이 열렸다고 그는 설명했다. 미-소 관계 변화 등이 독일 통일에 큰 영향을 끼쳤듯이 북핵 문제 등 국제정세의 호전이 남북 통일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란 예측이다. 포페 원장은 한국이 독일보다 통일을 잘 할 수 있는 이유로 △독일은 보고 배울 사례가 없었지만 한국은 독일 통일 선례에서 배울 수 있고 △제2차 세계대전으로 독일의 민족감정은 엄청난 상처를 입었지만 한국은 온전한 민족감정을 간직하고 있고 △독일 문화가 개인 중심인 데 비해 한국은 공동체 중심이란 점 등을 들었다. 그는 민간과 정부가 여러 차원에서 사전에 통일 준비를 하면 한국은 독일 같은 실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70년대부터 동독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동독 풀뿌리시민운동의 지도자였다. 1989년 11월 ‘독일 통일을 위한 중앙원탁회의’에 참여해 동독 국민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원탁회의는 통일 과정에서 많은 부분 정부와 의회 기능을 맡았다. 글·사진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