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갈수록 가혹해지는 그 말, 사랑과 혁명

등록 2008-07-04 19:36

김정환 시인
김정환 시인
500쪽 넘는 방대한 분량의 시집
창세기부터 2007년 삼겹살까지
‘운동·지향으로서의 삶’ 되새겨
〈거룩한 줄넘기〉
김정환 지음/강·1만8000원

“시내에서 양화대교 건너자마자 좌회전,/ 길 나오자마자 우회전하고 150미터쯤 올라오면/ 유원제일아파트 205동 1307호. 전화는 2635-4152”

책에 나와 있는 그대로였다. 지은 지 20년쯤 되었다는 서민 아파트의 꼭대기층에 시인의 거처는 있었다. 책은 별로 없고 엘피와 시디 음반이 빼곡한 거실 한가운데에 작업용 컴퓨터가 놓여 있고, 그 앞에는 그가 지금 번역하고 있는 셰익스피어 원서가 펼쳐져 있다.

“이 화상을 뭐라 부를꼬?”

500쪽이 훨씬 넘는 방대한 분량의 시집 <거룩한 줄넘기>에 붙인 후기에서 김정환(54) 시인은 스스로도 당혹스럽다는 듯 자문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거룩한 줄넘기>는 무어라 한마디로 규정하기 어려운 잡다한 요소들의 범벅이자 총합과도 같은 것이다. 성경 창세기의 이야기와 12만년 전 호모 사피엔스의 고독에서부터 2007년 여름 새벽 포장마차의 삼겹살까지 멀고 가까운가 하면 크고 작은 이야기들이 북적이며 부딪치는 것이 이 시집의 풍경이다.

“근육의 원만이 전율하는/ 전율이 내파하는/ 내파가 펼쳐지는/ 이미지의/ 얼음과 음식이/ 고독하게 경악하는/ 침묵이 다시/ 푸르르게 전율하는/ 거룩한/ 줄넘기, 그 속은// 신약이 구약의 속살이다.”

‘전율’이나 ‘내파’ 같은 특유의 용어들, 그리고 “일상은 갈수록/ 가혹한 형식이 사소화하는/ 내용일 뿐이다”와 같은 잠언투 어법으로 무장한 채 쉽사리 해독을 불허하는 시집이지만, 제목으로 쓰인 ‘거룩한 줄넘기’가 핵심적인 개념임은 짐작할 수 있겠다. 시인의 보충설명을 참조해서 이해해 보건대, ‘줄넘기’란 반복적인 운동을 이르며, ‘거룩한’은 그 운동이 지향하고자 하는 모종의 가치를 가리킨다. 요컨대 운동과 지향이 결합된 삶의 의미를 이 제목은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세상은/ 정결한 노래의/ 몸이다./ 혁명가는 눈물의/ 피난처가/ 아니다. 노래는/ 노래 속으로 노래의 해방을/ 이루며 노래 밖으로 노래의/ 세계를 일군다. 노래는 노래가/ 노래의 혁명이다.”

운동과 지향으로서의 삶을 이해함에 있어 노래의 중요성이 거듭 강조된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한때 에프엠 라디오의 클래식 음악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음악 에세이집을 낸 적도 있는 시인의 음악 사랑을 짐작하게 한다.

잡지 발표를 거치지 않고 전작으로 출간된 <거룩한 줄넘기>는 별다른 소제목이 없이 프롤로그에 이어 로마자 I에서 XVI까지 진행된 다음 ‘사랑노래-보유(補遺)’와 에필로그로 마무리된다. ‘사랑노래’는 생·로·병·사의 인생 네 단계를 사랑의 관점에서 정리하고 있거니와, 프롤로그의 다음 대목은 이 시집이 무엇보다 사랑과 혁명의 시집임을 알게 한다.

“사랑, 그 허리 끊어지는 말 혁명 그 회오리치는 말, 사랑, 갈수록 짧아지는 그 말, 혁명, 갈수록 지리멸렬해지는 그 말, 사랑, 갈수록 가혹해지는 그 말, 혁명, 갈수록 멸망을 닮아가는 그 말, 사랑, 청순한 죽음을 닮아가는 말, 혁명, 무기력한 노년을 닮아가는 말, 우리가 한 몸이듯 둘이 따로 떨어져 있고 우리가 떨어져 있듯 둘이 한 몸인.”

지난해 펴낸 <드러남과 드러냄>에 이어 또 다시 대규모 전작 시집 <거룩한 줄넘기>를 상재한 시인은 지금 좋아하는 술도 줄인 채 셰익스피어의 희곡 37편과 시집 3권을 모두 번역하는 ‘셰익스피어 전집’ 번역 작업에 진력하고 있다.

글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사진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