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민족끼리도‘종족화’생생한 사례
홍콩인 “자신보다 여등한 타자, 대륙인”
<종족과 민족>이 다루고 있는 여러 사례 가운데 홍콩 문제는 특히 눈길을 끈다. 장정아 인천대 중국학과 교수는 관련 연구에서, 홍콩인과 대륙인 사이의 갈등을 통해 어떻게 같은 민족 내부에서 ‘종족적 타자화’가 진행되는지를 생생하게 드러냈다. 현재 홍콩인의 대다수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중국 대륙으로부터 이주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1980년대 말 이후 홍콩으로 건너온 중화인민공화국 출신 이주민들과 민족적·인종적·혈통적으로 차이가 없다. 그러나 홍콩인들은 중국 출신 이주민들을 “자신과 대립되는 열등한 타자”로 부르는 말인 ‘대륙인’이라고 지칭한다. 이런 현상은 1997년 영국의 홍콩반환 이후 홍콩인과 대륙인이 동일한 국민국가의 공민이 된 다음에도 변하지 않았고, 오히려 더 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이전부터 홍콩에 살았으며 혈통적으로 중국인과 다소 구분되는 토착민들은 아예 종족 갈등의 변수조차 되지 못했다. 현재 홍콩에서 벌어지고 있는 종족 갈등은 80년대 이전에 홍콩에 자리잡은 한족과 그 이후 넘어온 한족간의 갈등이다. 그 배경에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놓여 있다. “경제적 기회에 대한 점유 경쟁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집단을 하나의 특별한 종족인 양 취급하면서 경제 영역에서 소외시키는” 구조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동일한 국가와 민족집단 안에서도 정치적 이념과 체제, 그리고 경제적 기회와 자원을 둘러싼 입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강자가 약자에게 가하는 종족 만들기의 폭력적 과정”이기도 하다. 장 교수는 이런 사태가 발생한 근본원인으로 ‘집단망각’을 지적한다. 홍콩인들이 “민주주의가 거세된 식민 치하의 조건부 자유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그 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 과거”를 잊고 “식민 흔적과 상처에 대해 근본적으로 자성하고 되묻기 보다는 대륙인을 배제하고 차별함으로써 홍콩의 정체성을 형성”했던 결과라는 것이다.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홍콩인 “자신보다 여등한 타자, 대륙인”
<종족과 민족>이 다루고 있는 여러 사례 가운데 홍콩 문제는 특히 눈길을 끈다. 장정아 인천대 중국학과 교수는 관련 연구에서, 홍콩인과 대륙인 사이의 갈등을 통해 어떻게 같은 민족 내부에서 ‘종족적 타자화’가 진행되는지를 생생하게 드러냈다. 현재 홍콩인의 대다수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중국 대륙으로부터 이주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1980년대 말 이후 홍콩으로 건너온 중화인민공화국 출신 이주민들과 민족적·인종적·혈통적으로 차이가 없다. 그러나 홍콩인들은 중국 출신 이주민들을 “자신과 대립되는 열등한 타자”로 부르는 말인 ‘대륙인’이라고 지칭한다. 이런 현상은 1997년 영국의 홍콩반환 이후 홍콩인과 대륙인이 동일한 국민국가의 공민이 된 다음에도 변하지 않았고, 오히려 더 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이전부터 홍콩에 살았으며 혈통적으로 중국인과 다소 구분되는 토착민들은 아예 종족 갈등의 변수조차 되지 못했다. 현재 홍콩에서 벌어지고 있는 종족 갈등은 80년대 이전에 홍콩에 자리잡은 한족과 그 이후 넘어온 한족간의 갈등이다. 그 배경에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놓여 있다. “경제적 기회에 대한 점유 경쟁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집단을 하나의 특별한 종족인 양 취급하면서 경제 영역에서 소외시키는” 구조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동일한 국가와 민족집단 안에서도 정치적 이념과 체제, 그리고 경제적 기회와 자원을 둘러싼 입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강자가 약자에게 가하는 종족 만들기의 폭력적 과정”이기도 하다. 장 교수는 이런 사태가 발생한 근본원인으로 ‘집단망각’을 지적한다. 홍콩인들이 “민주주의가 거세된 식민 치하의 조건부 자유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그 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 과거”를 잊고 “식민 흔적과 상처에 대해 근본적으로 자성하고 되묻기 보다는 대륙인을 배제하고 차별함으로써 홍콩의 정체성을 형성”했던 결과라는 것이다.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