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성장하는 아이들의 불안을 엿보다

등록 2010-04-09 19:24

〈손톱이 자라날 때〉
〈손톱이 자라날 때〉




〈손톱이 자라날 때〉
방미진 지음/문학동네·9500원

영화 <여고괴담2>의 주인공은 말한다.

“키 몇 센티, 몸무게 몇 킬로… 이런 숫자들로 나의 성장을 잴 수 있을까?” 그 시절 돌이켜보니 성장치는 두려움으로 재는 거라고 답할 수 있겠다. 머쓱하게 키가 커갈수록 커지는, 현실과 영영 불화할 것 같은 공포 말이다. 정말이지, 아이들 듣는 데서 요즘 애들 무섭단 소리는 할 게 못 되는 것이 아이들 자신이야말로 부모가, 친구가, 자신이 두렵다.

동화작가 방미진씨의 청소년 단편소설집 <손톱이 자라날 때>는 성장하는 작은 인간들의 강력한 불안이 깃들어 있는 책이다. 주인공들은 두렵고 두려우며 외롭고 외로운 나머지 다른 사람들을 향해 손가락 총을 겨눈다.(<고누다>)

몸안에서 자라는 질척한 불안을 뜯어내기 위해 손톱을 기른다.(<손톱이 자라날 때>) 자신을 지우고 죽은 쌍둥이 언니로 사는 쪽을 택하기도 한다.(<난 네가 되고>) 그래봤자 교실의 하얀 벽에 붙들려 가거나 자신의 가짜 분신에게 잡아먹히거나 가장 증오하던 사람을 닮아가는 무참한 결말이다.

귀신보다 무서운 욕망이란 놈을 은밀하게 등짝에 붙여 다니다 마침내는 잡아먹히는 건 폭력의 가해자든 피해자든 학교에 오든 집으로 도망치든 다 마찬가지다.

다섯 편 이야기 중 유일하게 주인공이 자신을 지킨 <붉은 곰팡이>에선 지하방에 사는 주인공 가족이 다 같이 불안과 씨름한다. 마침내 스멀스멀 벽에서 자라나는 곰팡이가 숨통을 틀어막는 집에서 떠나는 순간이 찾아왔다.


그렇지만 이미 몸에 곰팡이 같은 얼룩을 피워내는 동생과 끈끈이에 붙어서 찍찍거리는 쥐처럼 다른 세계에 발목잡힌 엄마는 또 어쩔 것인가. 닦아도 닦아도 현실은 곰팡이처럼 피어나며 생의 크레바스로 끌어들인다. 불안이 비등점에 이를 무렵, 소설이 일러주는 살아남는 법은 이렇다.

“도망칠 수 없으면… 곰팡이처럼 살아.”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