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제 말을 잃어버린 아이들을 위하여

등록 2010-05-14 23:39

〈민주교육으로 가는 길〉
〈민주교육으로 가는 길〉
잠깐독서




〈민주교육으로 가는 길〉

40여년 전 이오덕 선생은 시골학교 교단에 섰다가 무엇을 물어도 대답하지 않던 아이들이 무서운 선생의 얼차려에 맞춰 구령을 내지르는 모습을 보면서 무엇이 아이들의 입을 틀어막았는지 크게 깨달았다고 한다. <민주교육으로 가는 길>은 고 이오덕 선생이 40여년 교단에서 아이들과 뒹군 경험과 생각들을 담아낸 책이다. 1990년 <참교육으로 가는 길>로 나왔던 책을 요즘 교육의 얼굴에 맞춰 덜어내고 새로 뽑아 엮었단다. 교실마다 대형 모니터가 놓이고 부모와 아이들 눈이 밝아졌어도 선생이 처음 교단에 선 1944년부터 지금까지 교육의 속내는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 책의 본말이다. 선생은 “아이들이 항아리나 국화꽃 따위를 들여다보고 신묘한 사상에 취해 있다면 병신이 된 것이다”라고 일갈했지만 유치원에서부터 남의 글과 그림을 본뜨도록 하는 지금 교육은 아예 제도화된 불구 교육이기 때문이다.

책은 말을 잃어버린 아이들을 위해 ‘참글쓰기 교육’을 제안한다. 아이들이 제 말을 적으면서 숨통을 틔우고 말문을 열도록 하라고 한다. 그런데 글이 바로 서려면 삶이 바뀌어야 한다. 선생이든 아이든 봄놀이를 읊조리는 구경꾼의 삶을 버리고, 땀 흘려 일하고 그 삶을 글로 적는 노동자의 삶으로 바뀌어야 참글이 나온단다. 일을 가르쳐 사람을 만들고, 글짓기를 가르쳐 마음을 키우는 교육철학은 뺏고 빼앗기는 참담한 삶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더욱 불행해진 교육에 대한 애도로 읽힌다. /고인돌·1만3000원.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