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시인의 촉수로 더듬은 겨레의 궤적

등록 2010-08-26 19:03

곽효환(43) 시인
곽효환(43) 시인
만주·중국 남부·서역 곳곳
세월 거스른 시·공간 여행
잊고 지낸 닮은 얼굴 ‘문득’
〈지도에 없는 집〉
곽효환 지음/문학과지성사·7000원

“칠흑의 길을 앞서 간 이들을 따라/ 바다를 닮은 호수를 품은 내륙 도시를 지난다/(…)// 엉엉 울며 혹은 눈물을 삼키며/ 그렇게 걸어간 사람들에 대하여/ 그 슬픈 그늘에 대하여//(…)// 고맙다고/ 고마웠다고/ 그래서 나 오늘 다시 이 길을 간다고/ 무심히 여름 벌판을 적시는 강물에도 길이 있다고/ 길 너머 다시 길이 있다고”(<앞서 간 사람들의 길> 부분)

두 번째 시집 <지도에 없는 집>에서 곽효환(43·사진)은 앞서 간 이들이 열어 놓은 길을 뒤좇으며 그들의 눈물겨웠던 삶을 돌이키고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여덟 편의 ‘열하기행’ 연작을 비롯한 그 길 시편들에서 시인의 발길이 주로 향하는 곳은 고구려의 고토였던 만주와 중국 남부의 상해 임시정부 유적지들이다. 그가 겨레의 역사와 현실에 유난히 예민한 촉수를 지녔음을 알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거기에다가 대뜸 민족주의라는 꼬리표를 붙일 일은 아니다. 그는 연전에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 한 연구서 <한국 근대시의 북방의식>에서 백석과 이용악으로 대표되는 대륙적 정서와 상상력을 천착한 바 있다. 한때 우리 것이었으나 어느 땐가 잃어버린 그 정서와 상상력을 향한 그리움이 시인의 걸음을 재촉했을 것이다.

“끊어지고 흩어진 길들/ 그 길이 낳는 낯선 새로움 하여 열린 길들/ 어느 길도 가지 못할 길은 없다/ 돌아오지 못할 길 또한 없다/(…)/ 사라진 궤적을 찾아/ 지평선 이쪽 끝에서 저쪽 끝을 향해/ 가고 또 오는 길 위의 사람이고 싶다”(<다시 길에 서다-열하기행 1> 부분)

“혹독한 계절을 타고 풀과 물을 따라 유목하는/ 길 위의 사람들에게 아득한 시절의 내가 있다/ 말을 타고 건넌 초원과 사막과 호수와 강의 기억들/(…)/ 북방 대륙을 가로질러온/ 나를 닮은 검은 얼굴들이 있다”(<나를 닮은 얼굴들> 부분)


〈지도에 없는 집〉
〈지도에 없는 집〉
알타이 산맥 아래 몽골 초원에서 자신을 닮은 얼굴들을 발견하는 시인의 태도를 민족주의라고 한다면 그 민족주의는 열린 민족주의라 해야 할 것이다. 같은 시에서 길을 두고 쓴 표현마따나 “열려 있으나 올곧고 막힘없으나 여유로운” 것이 그 민족주의의 성격이다. 시인은 북방 고토에서만이 아니라 도처에서 자신 및 주변 사람들과 닮은꼴을 찾아낸다. 우루무치 인근 목장에서 마주친 유목민 모자를 보며 “왠지 그녀가 아내 같고 아이가 아들 같”(<남산목장 신강-위구르 여인>)다고 생각하는가 하면, 멕시코행 비행기 옆좌석에 앉은 인디오 노파한테서는 “거친 에네켄 농장에서 사나운 가시에 찔린/ 곪은 피 뿜으며 몸을 놀리는 내 할머니〔와〕 어머니”(<내 이름은 멕시코언>)를 본다. 이것을 두고 시인이 유목민 모자와 인디오 노파를 제 민족의 틀 안으로 포섭하려는 것이라고 비난할 수 있겠는가. 뿌리와 역사에 대한 관심이 반드시 진출과 확장, 정복 같은 배타적·공격적 민족주의로 나아가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소통과 교섭, 연대의 열린 태도로 이어질 수 있다.

만주와 중국 남부, 서역 등지를 대상으로 삼는 공간 여행과 더불어 시인은 세월을 거슬러 오르는 시간 여행에도 나선다. “전주천 공수레 다리 아래로 흘러”(<고무신 배를 띄우다>)간 유년, “낡고 해진 아버지의 사진첩”(<아버지의 사진첩>), 그리고 “아련히 흑백으로 빛나는 기억들의 출발점”(<텔레비전, 박치기왕 김일>)이 그 여행의 목적지들이다. <텔레비전, 나의 근대>라는 시에 따르면 흑백 진공관 텔레비전의 주름문이 열린 뒤 펼쳐지던 “놀랍고 새로운 세상”에 지금 시인은 와 있는 것인데, 이제 그는 오히려 주름문의 안에서 바깥을 그리워한다. 텔레비전 화면으로 상징되는 근대의 속도와 번잡에 지친 그가 아버지의 사진첩 속 느린 세계를 그리워하는 다음 대목을 보라.

“시간이 그림이 되어 멈추는 그곳에서 느리게/ 느/ 리/ 게 살았으면,/ 다시 그렇게”(<아버지의 사진첩> 부분)


시집 <지도에 없는 집>에서 곽효환은 시간과 공간의 두 좌표 위를 바지런히 여행한다. 표제작에 따르면 그 여행은 “세상에 대한 기억마저도 비워낸 것 같은” 여행이며, 그 여행 끝에 시인은 “지도에 없는 길이 끝나는 그곳에/ 누구도 허물 수 없는 집 한 채 온전히 짓고 돌아왔다.” 그 집이 바로 이 시집이다.

글 최재봉 기자 bong@hani.co.kr, 사진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1.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정부 대변인’ 유인촌 “계엄 전부터 탄핵 탓 국정 어려워”…계엄 합리화 2.

‘정부 대변인’ 유인촌 “계엄 전부터 탄핵 탓 국정 어려워”…계엄 합리화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3.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중립 기어 밟는 시대, 가수 이채연의 ‘소신’을 질투하다 4.

중립 기어 밟는 시대, 가수 이채연의 ‘소신’을 질투하다

“내가 정치인이냐? 내가 왜?”… 임영웅 소속사는 아직 침묵 중 5.

“내가 정치인이냐? 내가 왜?”… 임영웅 소속사는 아직 침묵 중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