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보이지 않아야 볼 수 있는 것도 있지

등록 2013-01-18 19:46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글·그림
이지원 옮김/창비·1만6000원
폴란드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가 그린 <눈>은 어른이 좋아하는 그림책의 계보에 들어갈 만한 책이다. 고개를 숙인 남녀가 손을 잡고 서 있는 표지의 우아하고 사색적인 그림부터 예사롭지 않다. 본문의 내용 역시 철학적이지만 그렇다고 아이들에게 읽어주기 어려운 내용은 전혀 아니다. 사물을 보는 눈의 가치와 본다는 것과 볼 수 없다는 것의 의미를 대여섯살 아이도 이해하기 쉽게 풀어놓았다.

본문은 한 장 걸러 한 장 씩 두 개의 구멍이 나 있다. 사람의 두 눈 모양이다. 이 구멍 난 장을 넘기면 눈동자처럼 보였던 것들은 꽃의 암술·수술이거나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동그란 커피잔, 구슬 같은 것들이다. 일종의 반전인 셈이다. 이런 반전을 통해 평소에는 소중한 줄 잘 몰랐던 눈이 우리를 기쁘게 하는 꽃이 되기도 하고, 세상의 문을 열어주는 열쇠이기도 하며, 위험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와도 같다고 말한다. 하지만 꼭 눈이 있어야만 세상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건 아니다.

‘우리는 눈이 얼마나 많은 일을 하는지 생각하지 않아’ ‘그래서 볼 수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은 상상조차 안 하지’라고 말하면서 작가는 보이지 않아도 할 수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 보여준다. 눈이 좋은 사람에게 안 보인다는 건 망이 없는 라켓으로 테니스를 치거나 튜브를 옆에 두고도 잡지 못해 물에 빠지는 것처럼 힘들고 끔찍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사실 보이지 않아도 듣고 느끼고 만지면서 할 수 있는 일은 많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말한다. ‘그리고 살아 있다는 것을 행복해할 수도 있어. 볼 수 있는 사람이나 보지 못하는 사람이나.’ 이 장을 넘기면 커다란 코와 첫 장에 나왔던 꽃이 다시 등장한다. 보이는 사람은 꽃의 화사함에 감동받지만 안 보이는 사람은 꽃 향기를 맡으며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작가는 시각장애인 친구 집에 초대를 받아 놀러 갔다가 친구가 비장애인과 다름없이 자연스럽게 행동하는 것을 보면서 감명을 받아 이 책을 그리게 됐다고 한다. 편견에서 벗어난다는 건 뜻밖에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닌 셈이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나를 이용만 하던 남편, 이제와 등 뒤에서 딴짓까지…”
“4대강 사기극에 부역한 어용학자들 심판받아야”
박근혜의 ‘자택 정치’ 한달…인수위 회의 딱 1번 참석
“우리 가족 먹여 살리는 대들보가 사라진다니…
개·고양이 죽이면 다음 표적은 어린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