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세계사 불변의 법칙. 옌쉐퉁 지음, 고상희 옮김. 글항아리·1만6000원
2월 3일 교양 잠깐독서
2023년 세계사 불변의 법칙
옌쉐퉁 지음, 고상희 옮김
글항아리·1만6000원
이 책의 본래 제목은 ‘역사의 관성’이다. 그동안 진행된 국제 구도의 변화가 미래에도 계속 연속적일 거라는 의미다. 중국 칭화대 국제관계학 교수인 지은이 옌쉐퉁은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이후 지금까지 중국 경제가 급성장한 흐름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전제한다. 이에 따라 그가 예상하는 2023년 국제정세는 미국과 중국의 양극구도가 형성되고, 세계의 중심은 동아시아로 이동한다는 게 핵심이다. 그에 맞춰 중국은 ‘도광양회’(힘을 드러내지 않고 때를 기다리며 인내한다는 뜻)로 대표되는 불개입주의 대신 국제무대의 전면에 나서는 외교정책을 구사해야 한다고 말한다. 중국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역사의 관성’은 주변 국가들에도 적용된다. “경제성장이 정체된 일본은 앞으로 확실히 2류국가로 전락할 것이다”, “현재 댜오위다오(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중·일의 갈등은, 침체되는 국력에 대한 일본인들의 불안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때쯤엔 북한도 개방정책을 펼치는 것이 불가피하며, 남한은 북한 핵을 현실적으로 직시할 수밖에 없다” 등등. 지은이는 중국 공산당의 강력한 리더십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반면 미국의 민주주의 선거 체제는 갈수록 ‘개혁적인 능력을 갖춘 지도자’를 선출할 수 없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중국의 추격을 방어할 수 없다고 말한다.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젊은 유권자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능력·실천보다도 언변을 갖추고 호감을 주는 인물이 대통령으로 선출된다는 것인데, 이런 ‘인기투표’로는 막대한 국가부채를 해결하기가 힘들다는 논리다. 하지만 지은이의 예측은 시진핑 체제가 공고한 리더십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는 국내 정치를 변수가 아니라 상수라고 말하지만, 현재 곳곳에서 터져나오는 민주주의·인권의 문제, 중국 지도부의 부패 등을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여전히 물음표로 남아 있다. 앞으로 10년 뒤, 이 책에 도저하게 깔려 있는 낙관성이 어떻게 평가될지 궁금해진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2023년 세계사 불변의 법칙
옌쉐퉁 지음, 고상희 옮김
글항아리·1만6000원
이 책의 본래 제목은 ‘역사의 관성’이다. 그동안 진행된 국제 구도의 변화가 미래에도 계속 연속적일 거라는 의미다. 중국 칭화대 국제관계학 교수인 지은이 옌쉐퉁은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이후 지금까지 중국 경제가 급성장한 흐름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전제한다. 이에 따라 그가 예상하는 2023년 국제정세는 미국과 중국의 양극구도가 형성되고, 세계의 중심은 동아시아로 이동한다는 게 핵심이다. 그에 맞춰 중국은 ‘도광양회’(힘을 드러내지 않고 때를 기다리며 인내한다는 뜻)로 대표되는 불개입주의 대신 국제무대의 전면에 나서는 외교정책을 구사해야 한다고 말한다. 중국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역사의 관성’은 주변 국가들에도 적용된다. “경제성장이 정체된 일본은 앞으로 확실히 2류국가로 전락할 것이다”, “현재 댜오위다오(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중·일의 갈등은, 침체되는 국력에 대한 일본인들의 불안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때쯤엔 북한도 개방정책을 펼치는 것이 불가피하며, 남한은 북한 핵을 현실적으로 직시할 수밖에 없다” 등등. 지은이는 중국 공산당의 강력한 리더십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반면 미국의 민주주의 선거 체제는 갈수록 ‘개혁적인 능력을 갖춘 지도자’를 선출할 수 없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중국의 추격을 방어할 수 없다고 말한다.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젊은 유권자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능력·실천보다도 언변을 갖추고 호감을 주는 인물이 대통령으로 선출된다는 것인데, 이런 ‘인기투표’로는 막대한 국가부채를 해결하기가 힘들다는 논리다. 하지만 지은이의 예측은 시진핑 체제가 공고한 리더십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는 국내 정치를 변수가 아니라 상수라고 말하지만, 현재 곳곳에서 터져나오는 민주주의·인권의 문제, 중국 지도부의 부패 등을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여전히 물음표로 남아 있다. 앞으로 10년 뒤, 이 책에 도저하게 깔려 있는 낙관성이 어떻게 평가될지 궁금해진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