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주택>
3월 3일 교양 잠깐독서
유럽의 주택
임석재 지음
북하우스·3만3000원 특별한 건축물과 도시를 둘러보려고 국내외로 여행을 다닐 경우 가장 많이 만나는 구조체는 역시 사람 사는 집, 주택이다. 치밀한 연구로 쓰는 책마다 주제를 꽉꽉 눌러 농축시키는 학자 임석재 교수가 고대 그리스부터 시작해 19세기까지 주택의 방대한 역사를 짚었다. 도무스, 빌라, 주교궁, 박공주택, 상가주택, 아케이드 주택, 테라스 하우스, 아파트 하우스, 성채 등 다양한 주택들을 공부하는 것은 당시 가족, 계층, 젠더, 투기, 도시 전통과의 관계 등을 이해하는 데 공공건축보다도 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 사람들에게 가장 관심이 많은 주택, 아파트를 예로 들어보자. 아파트는 그리스 시대 큰 건물을 여러 세대에 세놓은 임대용 공동주택인 ‘시노이키아’에서 비롯됐다. 집주인이 ‘갑’이고 세입자가 ‘을’인 건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였나 보다. 집세가 밀리면 주인들은 세입자가 우물에서 물을 길어가지 못하게 했다. 요즘 한국 사회처럼 물질적 욕망이 아파트에 물리적으로 응집되는 현상은 18~19세기 프랑스 파리에서 부르주아들이 아파트를 중요한 투자 대상으로 삼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아파트 건설업자들은 이들의 수익 보장을 위해 당시 파리의 고도제한 상한선인 20m를 꽉 채워 6~8층까지 지었다. 부동산 투기 대상이 된 것은 비슷하나 미학적으론 한참 모자라는 한국 아파트와 달리 파리의 아파트는 왜 아름다운가. 이 책은 평범하면서도 어려운 이런 질문들에 성실히 답한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임석재 지음
북하우스·3만3000원 특별한 건축물과 도시를 둘러보려고 국내외로 여행을 다닐 경우 가장 많이 만나는 구조체는 역시 사람 사는 집, 주택이다. 치밀한 연구로 쓰는 책마다 주제를 꽉꽉 눌러 농축시키는 학자 임석재 교수가 고대 그리스부터 시작해 19세기까지 주택의 방대한 역사를 짚었다. 도무스, 빌라, 주교궁, 박공주택, 상가주택, 아케이드 주택, 테라스 하우스, 아파트 하우스, 성채 등 다양한 주택들을 공부하는 것은 당시 가족, 계층, 젠더, 투기, 도시 전통과의 관계 등을 이해하는 데 공공건축보다도 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 사람들에게 가장 관심이 많은 주택, 아파트를 예로 들어보자. 아파트는 그리스 시대 큰 건물을 여러 세대에 세놓은 임대용 공동주택인 ‘시노이키아’에서 비롯됐다. 집주인이 ‘갑’이고 세입자가 ‘을’인 건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였나 보다. 집세가 밀리면 주인들은 세입자가 우물에서 물을 길어가지 못하게 했다. 요즘 한국 사회처럼 물질적 욕망이 아파트에 물리적으로 응집되는 현상은 18~19세기 프랑스 파리에서 부르주아들이 아파트를 중요한 투자 대상으로 삼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아파트 건설업자들은 이들의 수익 보장을 위해 당시 파리의 고도제한 상한선인 20m를 꽉 채워 6~8층까지 지었다. 부동산 투기 대상이 된 것은 비슷하나 미학적으론 한참 모자라는 한국 아파트와 달리 파리의 아파트는 왜 아름다운가. 이 책은 평범하면서도 어려운 이런 질문들에 성실히 답한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