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통치 실상·친일 행적 한눈에”
“총독부가 발간한 공문서들은 식민통치의 실상과 함께 일제의 눈으로 파악한 조선 사람들의 생활과 사회, 문화와 저항 등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광범한 역사사료 데이타베이스인 이 목록집은 근·현대사를 공부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검색도구가 될 것입니다.”
일제 공문서 3만여권 찾아내
2년간 20여명 참여 2600여쪽 분류
“근·현대사 연구 길라잡이” 노력 ‘조선총독부 공문서 목록집’을 펴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설문원 학술연구처장(45·명지대 겸임교수)의 말에서는 자부심이 묻어났다. 일제 강점기 35년 동안 총독부가 생산한 문서 가운데 현재까지 남은 것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한 노작이기 때문이다. 현대사 연구의 길라잡이가 될 것이면서도 들인 공은 ‘표 안 나는’ 이 목록집에는 설 처장을 비롯해 교수와 여러 박사급 전임연구원, 대학원생 등 무려 20여명이 2년 동안 쏟아 부은 노고가 담겨있다. 이들은 2002년 8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국가기록원과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국사편찬위원회를 돌아다니며 총독부가 펴낸 공문서 3만여 권을 꼼꼼히 살피고 읽고 분석하고 분류했다. 여기에 1년 동안의 출판작업을 거쳐 1783쪽짜리 ‘종합목록집’과 840쪽짜리 ‘다계층 상세목록집’이 태어났다. 일제 때 공문서 3만여 권이라고 하면 어마어마한 양처럼 보이지만 일제가 패망하면서 대부분의 기록들을 의도적으로 없애 실제 일제가 냈던 기록 전체에서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그나마 이마저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되지 못하고 여러 기관에 분산된 채 소장기관의 형편에 따라 편의적으로 관리되어 왔다. 설 처장은 “각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에 밝은 연구자가 아니면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소장 여부도 알 수 없을 뿐더러 소장 여부를 알고 있어도 필요한 문서를 실제로 찾아내기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며 작업의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사실 총독문 공문서 목록집 발간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20여 년 전에도 목록집이 나왔지만 국가기록원 소장 자료가 대상의 전부였고, 생산자와 생산부서가 표시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범위도 넓혔고, 항목도 세분화했습니다.” 설 처장은 목록집이 개별 업무활동에 근거한 분류체계를 만들어 기록물들을 분류했으며, 특히, 총독부 학무국에서 생산된 사회교육문서군을 분석해 만든 ‘다계층 상세목록집’은 개개 기록건에서 기록철, 시리즈, 기록물 군에 이르기까지 계층별로 분류해 정책의 입안에서 집행까지를 일목요연하게 살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같이 ‘업그레이드’된 총독부 공문서 목록집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친일파들의 행적·재산과 관련한 논란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총독부 어떤 문서에 특정 인물의 행적과 각종 소유권에 대한 내용이 기재돼 있는지 검색하기가 쉬워졌기 때문이다. 목록집은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간됐으며, 일본의 근현대사 연구자와 한국학 관계자들에게도 보급될 예정이다. 출판기념회는 28일 오후 3시 서울시청 근처 명지재단빌딩 20층에서 열릴 예정으로, 이만열 국사편찬위원장이 참석해 축사를 한다. (02)300-1781.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2년간 20여명 참여 2600여쪽 분류
“근·현대사 연구 길라잡이” 노력 ‘조선총독부 공문서 목록집’을 펴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설문원 학술연구처장(45·명지대 겸임교수)의 말에서는 자부심이 묻어났다. 일제 강점기 35년 동안 총독부가 생산한 문서 가운데 현재까지 남은 것들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한 노작이기 때문이다. 현대사 연구의 길라잡이가 될 것이면서도 들인 공은 ‘표 안 나는’ 이 목록집에는 설 처장을 비롯해 교수와 여러 박사급 전임연구원, 대학원생 등 무려 20여명이 2년 동안 쏟아 부은 노고가 담겨있다. 이들은 2002년 8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국가기록원과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국사편찬위원회를 돌아다니며 총독부가 펴낸 공문서 3만여 권을 꼼꼼히 살피고 읽고 분석하고 분류했다. 여기에 1년 동안의 출판작업을 거쳐 1783쪽짜리 ‘종합목록집’과 840쪽짜리 ‘다계층 상세목록집’이 태어났다. 일제 때 공문서 3만여 권이라고 하면 어마어마한 양처럼 보이지만 일제가 패망하면서 대부분의 기록들을 의도적으로 없애 실제 일제가 냈던 기록 전체에서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그나마 이마저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되지 못하고 여러 기관에 분산된 채 소장기관의 형편에 따라 편의적으로 관리되어 왔다. 설 처장은 “각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에 밝은 연구자가 아니면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소장 여부도 알 수 없을 뿐더러 소장 여부를 알고 있어도 필요한 문서를 실제로 찾아내기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며 작업의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사실 총독문 공문서 목록집 발간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20여 년 전에도 목록집이 나왔지만 국가기록원 소장 자료가 대상의 전부였고, 생산자와 생산부서가 표시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범위도 넓혔고, 항목도 세분화했습니다.” 설 처장은 목록집이 개별 업무활동에 근거한 분류체계를 만들어 기록물들을 분류했으며, 특히, 총독부 학무국에서 생산된 사회교육문서군을 분석해 만든 ‘다계층 상세목록집’은 개개 기록건에서 기록철, 시리즈, 기록물 군에 이르기까지 계층별로 분류해 정책의 입안에서 집행까지를 일목요연하게 살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같이 ‘업그레이드’된 총독부 공문서 목록집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친일파들의 행적·재산과 관련한 논란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총독부 어떤 문서에 특정 인물의 행적과 각종 소유권에 대한 내용이 기재돼 있는지 검색하기가 쉬워졌기 때문이다. 목록집은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간됐으며, 일본의 근현대사 연구자와 한국학 관계자들에게도 보급될 예정이다. 출판기념회는 28일 오후 3시 서울시청 근처 명지재단빌딩 20층에서 열릴 예정으로, 이만열 국사편찬위원장이 참석해 축사를 한다. (02)300-1781.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