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요즘 창비가 어렵답니다”

등록 2015-07-09 21:52수정 2015-10-22 15:20

을유문화사 세계문학전집
을유문화사 세계문학전집
[광복 70년, 책읽기 70년]

1960~80년대 쏟아진 전집들
대학가에서 상주하다시피 하며
은근히 말을 붙여오던
외판원들은 모두 어디 갔을까
1960~80년대 도시 중산층 가정의 ‘책 읽는 아이’는 부모들이 사서 쟁여둔 ‘전집’ 덕분에 길러졌다. 웬만한 가정에는 세계문학·한국문학·아동문학 전집, 또 백과사전·가정백과사전 등이 한두 질은 갖춰져 있었다. 기업이나 기관의 사장님·대표님 집무실에도 양장본으로 된 전집이 진열돼 있었다. 양장본 전집은 장식품으로 아주 그럴듯했기 때문이다.

전집류는 1960~80년대 독서·출판문화의 가장 중요한 산물이다.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은 종류의 전집·총서류들이 나왔다. 한문고전·세계고전, 철학·사상류 외에 “실무 전서” 같은 실용·자기계발서류도 있었다. 일단 뭐든 전집으로 묶어내는 것이 1950년대 말부터의 출판 관행이었던 것이다. 한 기사에 의하면 1970년 현재 일반 단행본 부문의 약 70% 정도가 전집 또는 전집 형태로 발간되고 있다 했다.

그런 전집을 가정과 회사에 보급한 것은 외판원들이었다. 이들이 출판 마케팅의 중추를 담당했다. 출판사의 영업 자체가 서점이나 통신판매보다 외판에 더 의존했던 것이다. 책 외판원도 다른 외판 일처럼 기본적으로 ‘험한 일’이었다. 길바닥에서 살다시피 해야 하는데다, 늘 남에게 아쉬운 소리를 해야 먹고살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이다. 또 고정된 월급이 나오는 안정된 직장이 아니라 판매 실적에 따라 수입이 정해지는 불안정한 직업이다. 적성에 맞지 않으면 실패하기 십상이다. 그래서 그 시대에도 책 외판원은 대개 뭔가 일이 잘 안 풀릴 때 갖는 직업으로 인식됐다. 물론 성공한 예외들도 아주 적지는 않았다. 수입이 일반 회사원의 2~3배에 이르러 자가용을 몰거나, 고학력인 외판사원들도 없지 않았다. 전설적인 출판인이자 잡지 <뿌리깊은 나무>의 편집인인 한창기는 외판원을 거쳐 한국브리태니커사의 사장이 됐는데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다.

외판원들이 주도하는 책 읽기의 풍경은 1990년대까지 이어진다. 1980~90년대에 대학을 다닌 사람들 중에는 ‘창비’를 정기구독하거나 수십권짜리 양장 영인본을 구입한 추억(?)을 가진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대학가에 상주하다시피 한 외판사원의 ‘요새 창비가 어렵다, 대학생이라면 창비를 봐야 한다’는 권유 때문에 그랬을 것이다. ‘창비’ 두 글자가 1970~80년대식 저항과 진보 문학의 상징이었던 시절이다. 그 외판원 아저씨들이 과연 누구였는지, 그리고 어디로들 갔는지 궁금하다. 백낙청 교수를 위시한 창비의 멤버들이 실업자로 살고 출판사가 등록취소마저 당하기도 했던 ‘어려운 시절’의 아스라한 추억이다.

천정환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