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집회 할머니들 “일본 사죄하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1190차 정기 수요집회가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앞에서 열려 길원옥(앞쪽 왼쪽)·김복동(앞쪽 오른쪽) 할머니를 비롯한 참가자들이 일본의 사죄를 촉구하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20개 학회 국문·영문 성명서 발표
“일본 정부는 과거사 부정하려는 태도 버려야”
“일본 정부는 과거사 부정하려는 태도 버려야”
“전쟁기간 중에 일본이 일본군이 지정해 준 위안소에서 피해자들을 군‘위안부’로 동원하여 자신의 의사와 무관하게 반복적으로 성폭력 피해를 입혔다는 것은 명백한 역사적 사실이다.”
한국 역사학계를 대표하는 전국의 20개 학회가 5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공동으로 발표했다. 전국역사학대회협의회는 이날 ‘광복 70주년, 한일수교 50주년을 맞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한다’는 제목의 국문과 영문 성명서를 발표했다.
전국역사학대회협의회는 매년 열리는 대규모 학술대회인 역사학대회를 준비하려고 역사학계의 주요 학회들이 조직한 협의체로 총 20개 학회가 소속돼있다. 이번 성명서에는 경제사학회, 역사교육연구회, 역사학회, 한국사연구회, 한국여성사학회, 한국역사연구회 등 진보·보수를 망라해 모든 소속 학회가 동참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하여 과거사를 부정하려는 태도를 버리고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 간 담화의 계승 의지를 확고히 천명해야 한다”며 “피해자에 대한 진정어린 사과와 보상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이 지정해준 위안소에서 자신의 의사와 무관하게 반복적으로 성폭력 피해를 입힌 것은 명백한 역사적 사실이며, 일본 정부가 이런 진실을 부정하거나 왜곡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또 학자들은 “일본 정부는 역사 과목을 비롯한 사회과 교과서에서 식민 지배와 침략을 감추거나 미화하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서술을 막는 행위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한국과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자존심을 회복하는 길이 곧 세계 여성의 존엄성을 고양하는 길임을 상기해야 한다”며 “피해자 한분이라도 더 살아계실 때 그들의 마음 깊은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정당하고도 현명한 합의를 이뤄내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성명서 발표를 제안한 한국여성사학회의 정현백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는 “한국 역사학계의 대표적 학회들이 이렇게 한목소리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관련 성명서를 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보수와 진보적 시각을 막론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학회들이 이견 없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사안의 중요성에 공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앞으로 이 성명서를 외국 시민 단체나 학자들과도 공유하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환기시킬 계획이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