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내 운명선을 집요하게 핥는 이

등록 2016-02-04 20:20

잠깐독서
애인의 애인에게
백영옥 지음/예담·1만3000원

“내 운명선을 그의 뾰족한 혀끝이 집요하게 핥”는다면, 그는 애인이다. 내 팔자에 나 아닌 존재가 축축하게, 그러니까 무겁게 포개질 때 삶은 홀연히 초유의 것이 되고, 사랑하기 전에 통짜이던 감각은 애인을 만나면 분열한다. 상냥한 키스의 장소인 손등 바로 아래, 성냥 같은 피부가 있어 몸에 불이 붙을 수 있음을 알게 하는 건 애인뿐이다. 사랑받을 자격도 없고 방법도 모르는 삶에, 웬 인센티브처럼 찾아오는 사랑. 그것에도 생로병사가 있다. 연애는 생명이니까.

4년 만에 나온 백영옥의 장편소설 <애인의 애인에게>는 네 인물로 이 풍경을 채운다. 세 여자와 조성주란 남자. 세 여자의 시점으로 3부가 각각 쓰였다. 사랑이 병사했다. 이혼을 앞두고 이별여행을 떠나는 마리와 성주. 사랑이 태어났다. 성주를 혼자 좋아하고 성주와 마리가 부재하는 동안 집을 빌려 쓰게 된 정인. 그리고 기혼인 성주가 사랑한 기혼의 수영. “조금도 부딪히지 않고 빗겨나가”기만 하는 이들의 사랑은 무표정하다. 다 다르게 사랑하지만, 그 점에선 같다. 그런데 “무표정은 존재하지 않는 표정이 아니다. 어떤 것들은 넘쳐야 비워진다. 무표정은 감정들이 넘쳐흘러 비로소 비워진 얼굴의 단면이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넘칠 만큼 충만했던 모든 사랑의 후천적 무표정을 쓴다. 인물들은 연애할 때 마음을 건다, 마음. 인생 같은 거창한 건 모르겠다는 표정으로.

결혼도 그렇다. 인생을 걸기보단 (아플 것이 확실한) 마음을 길게 지키는 일. “저 사람이 한 번도 상상해본 적 없는 온갖 고통을 주게 될 텐데, 그 사람이 주는 다양한 고통과 상처를 참아낼 수 있는지, 그런 고통을 참아낼 정도의 가치가 있는 사람인지를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일.” 그것으로 무슨 행복이 아니라 “최소한 덜 불행”해지는 길.

마지막 화자 수영은 끝에 천문대를 찾는다. 우주의 손금 같은 별자리. “머무는 건 없어요. 제자리인 것 같지만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거든요. 별의 좌표도 계속 바뀌거든요. 그러니까 우린 전부 다 지나가는 중인 겁니다.”

석진희 기자 nina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