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고투’로 가득 찬 이 시대의 얼굴들

등록 2016-03-31 20:37

잠깐독서
나의 인연 이야기
신인령 지음/지식공작소·1만5000원

“아무도 되어보지 못한 사람이 되어 아무도 써본 적이 없는 글을 써보려는 것이 나의 오랜 소망이었다”고 말한 어느 시인이 있었다. 읽는 내내 그 말이 떠오른다. 우리 현대사가 기억하는, 기억해야 할 사람들과의 인연, 그 50여편의 이야기가 한데 모여 환하게 다시 불타오른다. 강원용 목사, 리영희·이태영 선생, 한승헌·황인철·홍성우 변호사, 나병식 풀빛출판사 대표, 김종철 동아투위 위원장, 헌법학자 윤후정, 원풍모방노조 조합원…. 저마다 빛을 품은 사람들, 함께 만나고 겪으면서 험난한 시대를 건너온 얼굴들이 눈빛을 반짝이며 오롯이 살아 있다. 우리의 눈을 생각에 잠기게 한다.

<나의 인연 이야기> 지은이에겐 소중한 인연이고, 동시에 ‘우리 시대의 담대한 인연’이다. “각자 자기 형편에 따라 동시대를 고투하며 살았다는 기쁨과 안심을 주는 분들이 있어 힘겨워도 서로 기대어 살아낼 수 있었던 것이 얼마나 행운인지 모릅니다 (…) 살면서 전인격적인 만남 이상으로 수지맞는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그동안 지은이가 쓰고 말했던 추모사, 추모문집 글, 출판기념회 축사 등을 묶은 책에는 ‘고투’, 이 한 단어가 유독 많이 보인다. 때로 외로웠고 아픔으로 돌아누워 울기도 했지만 현장에서 분투하며 만난 얼굴들은 돌이켜보면 그리움이다. 고투를 무릅쓰고, 문체는 오히려 따뜻하고 서정적이다.

30대 초반 크리스찬아카데미 간사 시절, 칠판에 백묵으로 눌러쓴 ‘여성 노동자의 고민’ 앞에 선 굵고 검은 뿔테안경의 단발머리 신인령이 인상적이다. “법학자도 사회운동가도 못 되고 다만 비틀거리지는 않은 ‘비주류 법학도’로 살아온” 그는, 어느새 “언제나 약자와 억울한 이들에게 편향되고 싶었던” 감수성을 여전히 잃지 않고 있는 칠순 노인이 되었다. 6·3사태, 크리스찬아카데미 사건 등을 거치며 고뇌에 찬 시대와 삶을 뚫고 온 한 여성과 야무진 조약돌 같은 그 감수성을 본다. 어딘지 모르게 법정의 사회적 사색 혹은 신영복 선생의 ‘꽃처럼 피어나는 만남’을 불쑥 떠올리게 된다. 그 역시 이미 누군가와 비슷한 사람과 글이 된 것일까?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