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카피라이터 박웅현의 두번째 ‘도끼 책’

등록 2016-06-09 20:25수정 2016-06-10 11:28

<잠깐독서>
다시, 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북하우스·1만6000원
박웅현이 다시 벼린 도끼를 들고 왔다. 2011년 <책은 도끼다> 출간 뒤 5년여 만이다. 프란츠 카프카의 이 말에서 거듭 제목을 따왔다.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려버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 되는 거야.”

내 안의 얼음을 깬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런 도끼이려면, 어떤 책이냐 못지않게 내가 어떻게 읽느냐가 관건이 될 터여서다. <다시, 책은 도끼다>는 이 ‘책 읽는 법’에 집중한다. 예전 <책은 도끼다>와 달라진 지점이다. 전작에선 책을 읽으며 느낀 삶에 대한 태도, 창의력 등 책을 통해 책 바깥의 것들을 이야기하는 데 더 중점을 뒀단다. 이번엔 쇼펜하우어의 <문장론>, 마르셀 프루스트의 <독서에 관하여> 등 책을 대하는 태도를 다루는 텍스트, 소설 읽기의 한 경지를 펼쳐보이는 밀란 쿤데라의 <커튼> 같은 책들을 통해, 책 읽는 방식의 의미와 실제 용례를 설명하는 데 꽤 높은 비율의 공력을 들였다.

지은이가 강조하는 독법은 ‘다독’보다는 ‘다상량’이다. 한 권을 읽더라도 깊이 있게 읽고 나만의 울림을 찾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본다. 그러려면 ‘천천히’ 읽기가 필수적이라 본다. “읽고 있는 글에 내 감정을 들이밀어 보는 일, 가끔 읽기를 멈추고 한 줄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일, … 그런 노력을 하며 천천히 읽지 않고서는 책의 봉인을 해제할 수 없다고 나는 믿는다.” 시인 김사인의 문장도 같은 맥락으로 인용된다. “사랑이 투입되지 않으면 시는 읽힐 수 없다. 마치 전기를 투입하지 않으면 음반을 들을 수 없는 것처럼.” 사랑과 전기를 투입할 때 시, 곧 책의 언어들은 벌떡 일어서서 다가온다고 한다.

지난해 초겨울부터 올봄까지 8차례 이뤄진 강독회 내용을 바탕으로 지었다. 박웅현은 잘나가는 카피라이터다. ‘그녀의 자전거가 내 가슴속으로 들어왔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등을 썼다. 이런 재능은 자신의 책에서도 잘 발휘돼, 전작 두 권은 100쇄를 돌파했고 그의 추천 뒤 절판됐던 책이 재출간되기도 했다. <다시, 책은 도끼다>도 소개된 책들에 대한 구매욕을 잔뜩 부추기니, 이번 카피도 성공인 듯.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