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기독교 어떻게 이슬람에 대항해왔나

등록 2005-10-27 17:42수정 2005-10-28 16:38

그리스도교 대 이슬람 - 실패한 관계의 역사<br>
루드비히 하게만 지음. 채수일·채해림 옮김. 심산 펴냄. 1만8000원
그리스도교 대 이슬람 - 실패한 관계의 역사
루드비히 하게만 지음. 채수일·채해림 옮김. 심산 펴냄. 1만8000원
잠깐독서
그리스도인과 무슬림의 적대는 두 종교의 역사와 함께 한다. 게다가 이 역사는 현재적이다. 미국의 이라크 침공은 ‘신의 이름으로’ 이뤄졌다. 과격 무슬림들의 테러도 신의 이름을 빌리기는 마찬가지다.

<그리스도교 대 이슬람>(심산 펴냄)은 두 종교의 대립을 성찰한다. 신학과 이슬람학을 함께 공부한 지은이가 보기에 두 종교는 “경쟁과 대결, 정복과 탈환, 전쟁과 전투, 대량학살과 피바다의 역사”를 갖고 있다. 중요한 것은 “지금도 (서구 세계에는) 일종의 ‘반꾸란적 광견병’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몇몇 독자들에겐 실망스럽겠지만, 이 책은 두 종교간에 펼쳐진 ‘피의 대립’을 되짚는 역사서는 아니다. 11세기 십자군 전쟁이 잠시 언급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리스도 신학이 이슬람에 맞서 어떤 논리를 개발해 ‘변증’했는지를 보여주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슬람을) 독창적이고 자생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이단적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또는 사이비 종교로 낙인찍으려는 목적”으로 진행된 여러 신학 이론을 살피는 ‘신학의 역사서’라는 목적에 충실하다.

두 종교의 적대적 인식은 “한편으로는 극단적 무슬림들에 의해 조장됐고, 한편으로는 그리스도교 근본주의자들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굳이 근원을 따지자면 “일찍이 이슬람에 대한 적대상을 확대시킨 것은 그리스도인들”이라는 게 지은이의 생각이다. 그래서 중세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신학자들과 그들의 저서를 통해 그 ‘적대상’의 실체를 파고든다.

토마스 아퀴나스가 <신앙의 근거들>이란 책을 통해 이슬람과의 ‘지적 대결’을 본격화했고, 종교개혁을 이끈 마틴 루터가 이슬람을 “종말기의 적그리스도적 권세”로 해석했다는 사실 등은 흥미롭다. 이슬람과 지적으로 대결하려는 흐름은 계몽의 시대 들어서야 조금씩 변화를 겪는다. 두 종교의 공존을 위한 노력의 한 성취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다. 공의회는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을 채택하고 “교회는 무슬림 또한 존중한다”고 밝혔다.

이 책이 이슬람에 대한 그리스도 신학의 문제의식만 담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 같은 시기, 무슬림들은 그리스도인들을 어떻게 생각했던 것일까.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