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그 쇳물 쓰지 마라’ 댓글 시인 제페토 첫 시집

등록 2016-08-15 14:17수정 2016-08-15 21:35

2010년 뒤 댓글 시 포함 120여편
한국 사회 아픔·그늘진 곳 ‘눈길’
신원 확인 거부…40대 남성 추정

“광염(狂焰)에 청년이 사그라졌다./ 그 쇳물은 쓰지 마라.// 자동차를 만들지 말 것이며/ 가로등도 만들지 말 것이며/ 철근도 만들지 말 것이며/ 바늘도 만들지 마라.// 한이고 눈물인데 어떻게 쓰나.// 그 쇳물 쓰지 말고/ 맘씨 좋은 조각가 불러/ 살았을 적 얼굴 흙으로 빚고/ 쇳물 부어 빗물에 식거든/ 정성으로 다듬어/ 정문 앞에 세워주게.// 가끔 엄마 찾아와/ 내 새끼 얼굴 한번 만져보자, 하게.”(‘그 쇳물 쓰지 마라’ 전문)

2010년 9월 충남 당진의 한 철강업체에서 일하던 젊은 노동자가 작업 도중 용광로에 빠져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용광로에는 섭씨 1600도가 넘는 쇳물이 들어 있어 숨진 이의 주검을 찾을 수 없었다. ‘그 쇳물 쓰지 마라’는 이 사건을 보도한 기사에 ‘제페토’라는 이름을 쓰는 누리꾼이 조시(弔詩) 형식으로 쓴 댓글이었다. 여느 댓글과 달리 시 형식을 띤 이 댓글에는 다시 4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고 일각에서는 시에 쓴 대로 숨진 청년의 추모 동상을 세우자는 모금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제페토는 그 뒤에도 시 형식 댓글을 꾸준히 달았고, 그의 댓글 시를 부러 찾아 읽는 독자들도 생겨났다. 제페토에게는 ‘댓글 시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시집 <그 쇳물 쓰지 마라>(수오서재 펴냄)는 제페토가 쓴 댓글 시 120여편 가운데 80여편과 그가 따로 블로그에 쓴 시 47편을 한데 묶은 책이다. 블로그에 쓴 시 역시 표제작의 후일담에 해당하는 ‘용광로 청년의 연말’을 비롯해 ‘노숙인 대피소’ ‘쪽방촌의 겨울’ ‘복권’처럼 한국 사회의 그늘진 곳에 눈길을 준 작품이 다수를 이룬다.

“아버지 때처럼/ 오늘도 더웠습니다/ 물려주신 가난은 넉넉했고요// 체리를 훔쳤습니다/ 피치 못할 사정을 읍소해보고도 싶지만/ 나라님은 알 바 아닐 테고/ 가난에 관해서는/ 얘기 끝났다 하실 테죠// (…) // 돌아가 아이들에게/ 벼슬 같은 가난을/ 세습해주어야겠습니다”(‘체리와 장군’ 부분)

체리를 먹어 보지 못한 초등생 자식들에게 체리 맛을 보여주고자 아파트 현관문 앞 시가 3만원짜리 체리 택배 상자를 훔친 엄마에 관한 기사에 단 댓글 시다.

“돌아보지 말 것./ 섭섭한 마음 들거든/ 낯익은 얼굴 앞을 두어 번 선회할 것./ 바다에는 벽이 없으니/ 서남쪽으로 한 시간쯤 내달려/ 맺힌 응어리를 풀어줄 것./ 흰긴수염고래, 바다거북, 해마, 문어/ 새우를 만나면 그처럼 허리 숙여 인사 나눌 것./”(‘당부’ 부분)

2014년 5월17일 저녁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추모 5.17 범국민 촛불행동'에 참석한 시민들이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2014년 5월17일 저녁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추모 5.17 범국민 촛불행동'에 참석한 시민들이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2009년 포획돼 서울과 제주 수족관에서 공연에 동원됐던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와 춘삼이가 2013년 7월 제주에서 방류돼 고향 바다로 돌아갔다는 기사에 단 작품이다.

댓글 시인 제페토의 신분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인은 대면 인터뷰는 물론 출판사를 통한 서면 인터뷰 역시 마다했다. 나이와 성별을 확인하기 어려운데, 2010년 건물 3층 외벽 유리창을 청소하다 추락사한 김모(41)씨에 관해 쓴 댓글 시 ‘이름 모를 친구에게’에 “하필 당신 나와 같은 나이냐”라는 구절이 나오는 것을 참조하면 40대 중후반 남성일 것으로 짐작된다. 2014년 5월 세월호 추모 집회(사진)와 관련해 쓴 시 ‘집을 나서며’를 보면 그는 댓글 시와 집회 참여로 한국 사회의 아픔에 공감하고 동참하고자 하는 건강한 시민으로 보인다.

“나는 염세주의자인데/ 지독하게/ 겁도 많은데/ 광장행 버스를 타겠다// 방석 대신/ 소설이 빼곡한 신문지를/ 아스팔트 위에 깔고 앉아서/ 세상 바닥이야 으레 차가웠으니/ 그러려니 하겠다// 요구하겠다. 듣든 말든/ 미치도록 하고 싶던 말을/ 물론, 소리치기에 앞서/ 살아만 있던 입은 오늘부로 죽이고/ 성층권에서만 배회하던 머리도/ 뚝, 떼어 버리고// 주먹을 쥐고서/ 고개를 들면서”(‘집을 나서며’ 전문)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