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대구 10월 죽음’의 부름에 응하다

등록 2016-09-22 19:34수정 2016-09-22 20:03

천둥의 뿌리
이하석 지음/한티재·8000원

대구의 시인 이하석(68·사진)이 1946년 대구 10월 항쟁과 그에 따른 죽음들을 노래한 연작 시집 <천둥의 뿌리>를 펴냈다.

“그들이 내 이름을 부릅니다./ 대답하면 나는 너무 명백하게 드러나버립니다./ 가창골, 송현동, 상인동, 본리동, 앞산 빨래터 계곡, 경산 코발트 광산, 칠곡 신동재와 돌고개에서/ 모든 나는/ 그렇게 죽음 앞에 세워지지요.”(‘호명 1’ 부분)

“그들”이란 물론 10월 항쟁과 그 여파로 목숨을 잃은 이들을 가리킨다. 시인은 그들이 자신의 이름을 부르고 자신을 그 죽음 앞에 세운다고 말한다. 시인이 70년 전 죽임과 죽음의 현장을 눈앞에서 본 듯 생생하게 묘사할 수 있는 것은 그가 그 부름에 응했기 때문이다.

이하석 시인
이하석 시인
“그들은 밧줄로 엮인 채/ 산길을 끌며 올라와/ 이쯤에서 제 무덤을 팠겠지요./ 제가 판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 주변의 비탈을/ 손가락으로 긁어대며 버텼겠지요,/ 풀넝쿨처럼, 악착으로.”(‘발굴’ 부분)

시집에 실린 시 51편 가운데 가장 긴 15쪽짜리 시 ‘컨테이너’는 1950년 여름 경산 코발트 폐광산에서 벌어진 군경의 민간인 학살, 그로부터 반세기 뒤인 2005년 진실과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주도한 유해 발굴, 그리고 정권이 바뀐 뒤 발굴이 중단되고 컨테이너 안에 방치된 유해들을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앞마당으로 옮기고 유가족들을 ‘오월어머니회’가 맞이하도록 한 미술가 임인욱의 퍼포먼스까지를 한 줄에 꿴다. 시인의 의도는 분명하다. 70년 세월이 흘렀지만 진상 규명과 화해 및 상처 치유는 여전히 요원하다는 것이다. 국가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 제기되는 것은 이런 맥락에서다.

“그래, 이 마당에/ 국가란 무엇인가요?/ 밝힐 수 없는 죽음을/ 성찰하지 못하는/ 우리 사회는 어떤 고통의 속인가요?/ 책임의 윤리는 무엇인가요?”(‘컨테이너’ 부분)

이 질문에서 최근 우리 사회가 목격한 세월호 참사와 그에 대한 국가의 대응을 떠올리는 독자가 적지 않을 것이다. 시인이 자신이 태어나기도 전에 벌어진 일을 “다 기억한다./ 기억해야 한다”(‘나는 기억한다’)고 주장하고 다짐하는 것은 70년 전 일이 지나가 버린 과거사로 그치지 않고 현재와 미래에도 되풀이되고 또 될 수 있는 영원한 현재형이자 가능태라는 인식 때문이다.

이하석 시인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누구를 편들자는 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지난 상처를 따뜻하게 보듬는 아량을 보여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에서 시집을 묶었다”고 말했다.

최재봉 기자, 사진 이하석 시인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