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철학의 숲’ 헤쳐갈 지도를 얻다

등록 2016-10-13 19:28수정 2016-10-13 20:09

현대철학사전(전 5권)
기마에 도시아키 등 엮음, 이신철 옮김/도서출판b·40만원

<현대철학사전>이 전 5권으로 완간됐다. 마지막 번역본 <니체사전>이 나오기까지 번역 시작부터 꼬박 11년, 첫권 출간부터는 7년이 걸린 대작이다.

제2권 <헤겔사전>(2009), 제1권 <칸트사전>(〃), 제3권 <맑스사전>(2011), 제5권 <현상학 사전>(〃), 제4권 <니체사전> 순으로 출간된 이 사전의 전체 분량은 3523쪽, 원고지로는 4만장이 넘는다. 제1권 ‘(칸트의) 가능성’부터 제5권 ‘후설의 현상학’까지 실린 항목이 4710개나 된다. 각 사전은 해당 철학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 그의 철학에 영향을 끼친 전사와 인물들을 상세히 해설했다. 또 각 철학자의 연보와 저작 목록, 참고문헌 목록, 한국어 문헌 목록, 사항·인명·저작명 색인을 곁들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번역 저본으로는 일본 고분도(弘文堂) 출판사가 1992~2000년에 걸쳐 낸 같은 이름의 사전들이 쓰였다. 각 사전 편찬에는 칸트 150여명, 헤겔 100여명, 마르크스 120여명, 니체 40여명, 현상학 130여 명 등 모두 540여명의 전문 학자들이 참여해 일본 철학계의 수준과 역량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 많은 항목의 집필자와 엮은이 중에 겹치는 사람이 없다니 놀랍다.

이 많은 분량을, 분야가 조금씩 다른데도, 무려 7년이나 걸려, 한 사람이 번역해냈다는 것도 놀라운 일이다. 카이스트에서 교양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옮긴이 이신철(52·사진) 박사는 이 사전이 “독자들에게 철학의 미로를 헤쳐나가는 ‘아리아드네의 실’이길 바란다”고 썼다. 무턱대고 덤볐다간 지레 포기하거나 길을 잃고 헤매기 십상인 철학적 개념의 숲에서 이 사전이 지도와 지피에스(GPS)를 합쳐 놓은 것 같은 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다.

-어떻게 혼자서 번역을 하게 됐나.

“2005년에 의뢰를 받고, 내가 헤겔 전공자라 처음엔 헤겔만 하겠다고 했는데, 칸트 번역자를 구하기 힘들다고 해서 그것도 맡았다. 2009년 헤겔과 칸트를 끝냈는데, 마르크스와 현상학, 니체는 (번역이) 잘 안 되고 있다고 해서 결국 내가 하게 됐다.”

-번역 과정에서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았다?

“‘수유너머’의 오석철씨와 함께한 <맑스 사전>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부 혼자서 옮겼다. 더러 주변에 맡기고 자신은 감수하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난 철저히 개인 작업으로 혼자서 했다.”

-어려움은 없었는지.

“영어와 일어, 독일어는 읽을 수 있고, 불어, 희랍어, 라틴어 등은 사전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정도인데, 다양한 언어가 개입되는 철학의 특성상 내가 가진 언어지식이 큰 오류 없이 번역을 마칠 수 있는 조건이 됐다고 생각한다.”

-우린 언제쯤 이런 사전을 만들 수 있을까.

“옮긴이 서문에도 썼지만, 항상 그런 아쉬움이 남는다. 번역하면서 보니, 같은 관념론 안에서도 각 항목 집필자가 전혀 중복되지 않아 일본의 학문적 역량에 깜짝 놀랐다. 우리도 언젠가 사전을 만들긴 해야겠지만, 여러 여건상 그게 언제쯤 가능하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강희철 기자, 사진 도서출판b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