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유머-페이소스, 입말-한문 어우러진 이정록의 ‘목록’

등록 2016-11-03 19:48수정 2016-11-03 19:56

새 시집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자연 찬미는 사람살이 거울로 구실
“감동이 아니라면 재미라도 있어야”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의 목록
이정록 지음/창비·8000원

이정록의 새 시집 제목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의 목록’은 영문학자 도정일 교수의 에세이 <쓰잘데없이 고귀한 것들의 목록>을 떠오르게 한다. 두 책은 장르도 다르고 제목이 놓인 맥락도 꼭 같지는 않지만, 양쪽의 목록은 어쩐지 많이 겹칠 것만 같다. 이정록이 ‘애정’하는 것들의 목록은 표제작에서 짐작할 수 있다.

“자주감자가 첫 꽃잎을 열고/ 처음으로 배추흰나비의 날갯소리를 들을 때처럼/ 어두운 뿌리에 눈물 같은 첫 감자알이 맺힐 때처럼// 싱그럽고 반갑고 사랑스럽고 달콤하고 눈물겹고 흐뭇하고 뿌듯하고 근사하고 짜릿하고 감격스럽고 황홀하고 벅차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의 목록’ 부분)

시인은 그것들 때문에 살고 또 운다고 말한다. 그것들이 반드시 자주감자 꽃잎과 감자알 같은 자연물만은 아니겠지만, <벌레의 집은 아늑하다> <풋사과의 주름살> <버드나무 껍질에 세들고 싶다> <제비꽃 여인숙> 같은 그의 앞선 시집들 제목에 등장하는 식물과 동물이 그 목록에 포함되리라 짐작하기란 어려운 노릇이 아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에 대한 관심과 찬미는 시집 곳곳에 보인다.

“햇살동냥 하지 말라고/ 밭둑을 따라 한줄만 심었지./ 그런데도 해 지는 쪽으로/ 고갤 수그리는 해바라기가 있다네.// 나는 꼭,/ 그 녀석을 종자로 삼는다네.// (…) // 돌아보는 놈이 되자고./ 굽어보는 종자가 되자고.”(‘해 지는 쪽으로’ 부분)

“느티나무는 그늘을 낳고 백일홍나무는 햇살을 낳는다.// 느티나무는 마을로 가고 백일홍나무는 무덤으로 간다.// 느티나무에서 백일홍나무까지 파란만장, 나비가 난다.”(‘생(生)’ 전문)

자연은 그 자체로 예쁘고 귀한 것이면서 동시에 사람살이를 돌아보게 하는 거울 구실을 한다. 인용한 시들에서 한사코 햇살을 외면하는 해바라기나 느티나무와 백일홍나무 사이 파란만장을 나는 나비는 읽는 이에게 교훈을 주기도 하고 삶의 본질을 곱씹어 보게도 한다. 등단 이후 이정록이 자연과 생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는 까닭을 짐작할 수 있다.

“웃기는 시를 쓰고 싶었다. 감동이 아니라면 재미라도 있어야지, 내 시 창작법의 전부였다.”(‘실소’ 부분)

새 시집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의 목록>을 낸 이정록 시인. “몽당연필처럼/ 발로 쓰고 머리로는 지운다/ 면도칼쯤이야 피하지 않는다”고 ‘시인’이라는 시에서 썼다. 창비 제공
새 시집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의 목록>을 낸 이정록 시인. “몽당연필처럼/ 발로 쓰고 머리로는 지운다/ 면도칼쯤이야 피하지 않는다”고 ‘시인’이라는 시에서 썼다. 창비 제공
사석에서 이정록이 얼마나 웃기는 사람인지, 겪어 본 이는 안다. 그런데 그는 입으로만이 아니라 시로도 사람들을 웃기고자 한다. ‘청양행 버스기사와 할머니의 독한 농담’ ‘고정과 회전’ ‘강원도시인학교’ 같은 시는 그가 목표로 한바 독자에게 재미를 주는 데에 성공한 작품들이다. 그러나 이정록의 농담 같은 시는 또한 그 안에 묵직한 페이소스를 담고 있다. ‘뻥그레’라는 시는 검은색 대형 승용차에 뻥튀기 기계를 싣고 다니는 이의 이야기다. 허름한 아파트에서 뛰어나온 아이들에게는 한바탕 잔치판이 벌어졌다. “아이들은 귀를 막고 공짜 튀밥처럼 웃는다. (…) 튀밥아저씨는 아이들의 웃음꽃만 즐거워한다.” 그런데 시의 마지막이 뭉클하다.

“시동을 걸어놓고는, 휴대폰 액정에 뜬 아들 사진을 본다. 팔년째 말없이 누워 지내는 열나흘 보름달을 본다. 사람들이 차에 대해 묻더구나. 트렁크에 휠체어가 들어가는 유일한 승용차라고 말하지 않았어. 너처럼 빙그레 웃기만 했어. 오늘도 아빠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단다. 팔년째 네가 단 한번도 뻥을 치지 않았듯.”

이 시에서도 그렇지만 앞서 언급한 ‘해 지는 쪽으로’ ‘…독한 농담’ ‘고정과 회전’, 그리고 ‘문상’ ‘경주 남산’ 같은 시들에서도 시인은 구수한 입말을 살려 씀으로써 유머와 페이소스의 효과를 높인다. 그런가 하면 현직 한문 교사인 그가 한문을 활용해 사람의 도리와 시의 본질을 설파한 시들도 읽는 맛을 준다.

“천편일률(千篇一律)이라고/ 머리맡에 써놓았다.// 천권을 읽어야/ 시 한편 온다.// 편지봉투에 풀칠하듯/ 한줄 더 봉한다.// 천편을 써야/ 겨우 가락 하나 얻는다.// 이율배반(二律背反),/ 이천편을 쓰면/ 등 뒤에 눈을 단다.”(‘시론’ 전문)

“다음 시간엔 위(僞)와 가(假)란 글자를 공부해요 두 글자 모두 팔짱 끼고 건들건들 엿보는 사람 하나 있지요 거짓부렁으로 무언가 빌려가려고 흠칫거리고 있군요 사람만이 거짓을 짓는 동물임을 경계 삼는 글자지요”(‘눈’ 부분)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