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디킨스 영혼 불러라, 결말이 알고 싶다

등록 2016-12-15 18:54수정 2016-12-15 21:39

잠깐 독서
미스터리는 풀렸다!
박광규 지음, 어희경 그림/눌민·1만8000원

1930년대 잡지 <별건곤>에 최유범의 추리소설이 실렸는데, 제목이 참 담대하다. <약혼녀의 악마성>. 대놓고 누가 범인인지 밝히고 시작한다. 한국에서 추리소설 용어도 생기기 이전 일이었다고 한다. 21세기에도 이런 일이 벌어진다. 한 유명 미국 추리소설 표지에는 누가 봐도 의심스럽게 보이는 사람이 그려져 있는데, “외모의 특징이 너무나 뚜렷한 그 인물은 실제로 범인이었다”. 독자와의 머리 싸움, 반전의 묘미를 생명으로 하는 추리 장르에도 가끔 버그가 낀다.

일본 추리작가 에도가와 란포는 1933년 <악령>을 잡지 연재 3회 만에 중단했다. 잡지가 재판을 찍을 정도로 반응은 폭발적이었는데 말이다. 란포의 구상과 비슷한 소재의 외국 작품이 번역되는 바람에 더 쓸 힘을 잃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대문호 찰스 디킨스는 미스터리풍 소설 <에드윈 드루드의 비밀> 연재 도중 숨졌다. 결말이 너무도 궁금했던 독자들이 강령술로 디킨스의 영혼을 불러내는 시도까지 벌일 정도였단다. 반면 1946년 매저리 보너의 <칼의 마지막 뒤틀림>은 출간 뒤 마지막 장이 빠진 것을 알아차린 출판사가 이 부문만 소책자로 만들었다. 구입 독자들에게 무료로 보내주겠다고 공지했지만, 신청자가 한 명도 없는 ‘의문의 1패’를 당했다고 한다.

<미스터리는 풀렸다!>는 추리소설을 둘러싼 이야기들을 엮었다. 추리 작가는 부모 후광을 입은 ‘금수저’가 드문 직업임을 보여주거나, 작품 속 탐정들의 주거 형태 분석 등 다채로운 접근이 흥미를 돋운다. 장르 팬들에겐 정리와 발견의 재미를, 문외한에겐 호기심을 안겨줄 것 같다. 현실이 추리물을 무릎꿇리는 요즘 시국이 변수겠지만. <주간경향> 연재물을 책으로 묶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