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카리브의 시인’ 데릭 월컷 별세

등록 2017-03-19 19:39수정 2017-03-19 19:57

서사시 ‘오메로스’로 92년 노벨상
“카리브 지역의 정체성 탐색 작가”

데릭 월컷
데릭 월컷

199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시인이자 극작가인 데릭 월컷이 19일(현지시각) 별세했다고 외신이 전했다. 향년 87.

그는 카리브 지역의 섬나라인 세인트루시아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독립국가이지만 그가 태어날 때는 영국 식민지였다. 월컷에겐 카리브 지역의 대표 작가란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그에게 세계적 명성을 안겨준 작품이자 노벨상 수상작인 서사시 <오메로스>(1990)는 고대 그리스 작가 호메로스의 <오디세이>를 카리브 지역의 역사 속에서 재창조한 작품이다. ‘미천한 어부와 택시 기사’가 호메로스 서사시의 고대 영웅을 대신한다. 그는 <원숭이 산에 대한 꿈> 등 80편 이상의 연극 작품을 쓰거나 연출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월컷 연극의 상당수가 인종, 정치적 갈등을 배경으로 카리브 지역의 정체성을 탐험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월컷은 ‘그리스와 아프리카의 신전 사이’에 위치해 자신을 탐색하는 시들에서 셰익스피어나 예이츠, 엘리엇의 시혼을 불러내며, 이들 작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내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왔다”고 평했다.

그의 작품 세계는 가족사와 떼어 말하기 힘들다. 친할머니와 외할머니 모두 흑인 노예 후손이었다. 월컷이 한살이 되기 전 사망한 그의 아버지는 화가였다. 교사였던 어머니는 집에서 자주 셰익스피어의 소네트를 소리 내어 암송했다고 한다. 어머니는 월컷이 19살 때 첫 시집을 낼 수 있도록 돈을 대주기도 했다. 월컷은 미국 보스턴대에서 1981년부터 2007년까지 시를 가르쳤다. 2009년 영국 옥스퍼드대 시담당 교수직 선발 과정에서, 유력 후보자인 그에게 수십년 전 성적 괴롭힘을 당했다는 한 학생의 주장이 불거지면서 응모 의사를 철회하는 등 논란이 일기도 했다.

강성만 선임기자 sungm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