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시인 허영선 시집 ‘해녀들’
해녀항쟁에서 현재까지 삶 그려
“해녀들은 물에 시를 쓰는 이들”
해녀항쟁에서 현재까지 삶 그려
“해녀들은 물에 시를 쓰는 이들”
허영선 지음/문학동네·8000원 시로 쓴 해녀 열전. 시집 <해녀들>을 이렇게 요약할 수 있겠다. 지은이는 제주의 여성 시인 허영선. 더할 나위 없이 어울리는 조합이 아니겠나. “이제서야 제주도의 삶으로부터 제주도의 시가 세상의 형식 위로 솟아올랐다”는 고은 시인의 추천사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허영선은 1980년 <심상> 신인상으로 등단해 1983년 첫 시집 <추억처럼 나의 자유는>을 선보였다. 그로부터 무려 21년 만인 2004년 두번째 시집 <뿌리의 노래>를 냈고, 다시 13년 만에 세번째 시집 <해녀들>을 묶어 낸 것. <제민일보> 편집부국장을 지낸 언론인이자 제주4·3연구소장 및 제주대 강사로 분주한 바깥 활동 탓이리라 짐작된다. 어쨌든 세 시집의 제목만으로도 허영선 시 세계의 출발과 지향을 짐작할 수 있을 법하다. “어려서 적적/ 늙어서도 적적/ 허니 숨비질이지/ 비 오는 바당도 적적/ 과랑과랑 몸 푸는 대낮도 적적/ 그러니 노래하지/ 담배 태우듯 숨비질하지// 안개 너머 그리운 너를 향해/ 두서없이 편지를 쓰듯/ 물로 뱅뱅 노래하지”(‘해녀 홍석낭 1’ 부분) 바당이란 바다의 제주말. 제주 해녀들이 숨을 참고 오래도록 물질을 하다가 마침내 물 밖으로 나와 비로소 큰 숨을 내뿜을 때 나는 소리를 숨비소리라 하니, 숨비질이란 곧 해녀의 물질을 가리키는 말. 과랑과랑은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모습을 뜻한다. 표준어로는 대체하기 힘든 제주 토박이말을 적재적소에 배치한 시들은 해녀들 삶의 역사와 현실을 지근거리에서 보여준다. “제주의 날자연과 해녀들 삶의 강인한 이미지가 어울린다고 봅니다. 해녀들은 한낱 구경거리나 관광 대상이 아니에요. 자신의 삶을 물에 쓰는 존재이고, 우리가 이름을 불러줘야 할 이들이죠. 애정을 갖고 오랫동안 품었던 해녀 시를 이렇게 책으로 묶고 나니 부채를 갚은 듯 마음이 조금 편안해지는 느낌입니다.”
시집 <해녀들>을 낸 허영선 시인. “해녀들은 해마다 100명 정도씩 줄어들어 지금은 4천여명밖에 남아 있지 않다”며 “나이 든 해녀들의 경험과 해녀학교 등의 현대화 노력을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허영선 시인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