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원전 번역 ‘그리스인 조르바’ 만나보실래요?”

등록 2018-05-31 19:47수정 2018-05-31 20:07

유재원 교수, 72년만에 그리스어 번역
“이윤기 형이 번역하지 말라고 했지만…”
지금은 최초의 그리스어사전 작업중
<그리스인 조르바> 원작 출간 72년 만에 처음으로 그리스어 원전을 번역 출간한 유재원 한국외대 명예교수. “번역과는 담 쌓고 살려 했는데, 원본이 궁금하다는 이들의 성화 때문에 번역에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그리스인 조르바> 원작 출간 72년 만에 처음으로 그리스어 원전을 번역 출간한 유재원 한국외대 명예교수. “번역과는 담 쌓고 살려 했는데, 원본이 궁금하다는 이들의 성화 때문에 번역에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자키스 지음, 유재원 옮김/문학과지성사·1만3000원

“<그리스인 조르바>는 교과서에도 많이 실릴 정도로 아름다운 문장으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또 작가 카잔자키스의 어휘력이 뛰어나서 소설 무대인 크레타 방언을 비롯해 사전에서도 찾기 힘든 말들이 즐비합니다. 그리스 언어학을 전공한 저조차도 뜻을 확정하는 데 애를 먹을 정도이지요. 영어를 거친 중역으로는 원문의 맛을 제대로 살리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로도 만들어져 유명한 소설 <그리스인 조르바: 알렉시스 조르바의 삶과 행적>의 첫 그리스어 원전 번역을 내놓은 유재원 한국외대 명예교수는 지난 29일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1946년 그리스어로 발표된 <그리스인 조르바>는 1975년 한국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1981년 이윤기 번역본이 가장 널리 읽혔다. 그러나 이 책들은 영역본을 한국어로 옮긴 것이었고, 저본에 해당하는 영역본은 다시 프랑스어 번역본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1980년대 초 이윤기 형을 처음 만났을 때 그가 제게 준 명함에 ‘<희랍인 조르바> 번역가’라고 되어 있더군요. 이 책 번역에 대한 자부심이 그만큼 컸다는 뜻이죠. 1999년에는 크레타 섬의 카잔자키스 무덤을 함께 참배했습니다. 저한테, ‘<그리스인 조르바> 번역하면 절대 안 돼!’라고 농담 삼아 말하기도 했지요. 이윤기 형 번역본은 말맛이 있어서 이 작품이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 사실입니다.”

이윤기 역 <그리스인 조르바>는 2000년 열린책들로 출판사를 옮겨 낸 개정판만도 40만부가 팔렸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과 함께 번역가 이윤기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그럼에도 유 교수가 새롭게 번역하기로 한 까닭은 무엇일까.

“이윤기 형의 번역을 통해 이 소설이 널리 알려진 것은 고마운 일이지만, 이제는 정확하게 알 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영역본에서는 조르바와 ‘나’가 처음 만날 때 ‘나’가 ‘셀비어 술’을 마시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세이지 차’를 마신 것입니다. 이성적이어서 술에 취하는 걸 피하는 ‘나’와 초면에 대뜸 럼주를 시키는 조르바의 성격 차이가 드러나지 않게 된 것이죠.”

영화 <그리스인 조르바>의 한 장면. <한겨레> 자료사진
영화 <그리스인 조르바>의 한 장면. <한겨레> 자료사진

소설 도입부의 이런 치명적인 결함을 비롯해 기존 영역본은 매우 심각한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2014년에 새 영역본을 내놓은 피터 빈은 “어떤 경우 몇 문장씩 누락이 되어 있는가 하면 분명한 오역도 눈에 많이 띄고, 그리스어 원작에는 있지도 않은 내용들이 버젓이 나타나곤 한다”고 기존 영역본의 문제를 지적했다. 이윤기의 한국어 번역본이 그 문제를 피해 가기는 불가능했다.

피터 빈의 영역본을 저본으로 삼아 김욱동 서강대 명예교수가 번역한 <그리스인 조르바>가 지난 2월 민음사에서 출간된 것도 흥미롭다. 열성 독자라면 두 책을 비교해가며 읽어보아도 좋겠다. 유재원 번역본에서 ‘프롤로그’라는 이름으로 맨 앞에 배치된 장이 김욱동 본에서는 ‘작가의 말’로서 말미에 놓인 차이가 우선 눈에 뜨인다.

이윤기 본은 물론 김욱동 본 역시 작가 이름을 ‘카잔차키스’로 표기한 데 비해 유재원 교수는 그것이 “명백한 잘못”이라며 ‘카잔자키스’로 바로잡았다. 그는 카잔자키스의 또 다른 대표작 <영혼의 자서전> 한국어판 역시 “원본을 못 살렸다”는 판단에 따라 직접 번역하기로 했다. 그리스어 전문가인데다 카잔자키스와 마찬가지로 그리스정교회 신자이고 그리스 전역의 카잔자키스 발자취를 두루 답사한 경험 등이 두 책 번역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한다.

그러나 <영혼의 자서전> 번역은 좀 더 시급한 다른 일에 밀려 차례를 기다려야 하는 처지다. 그는 지금 한 인터넷 포털의 의뢰로 첫 그리스어-한국어 사전 편찬 작업을 하고 있다. 올해 안에 기초 어휘 4~5천 정도의 표제어를 정리하고, 내년까지 표제어를 1만5천개로 늘리며, 최종적으로는 15만개 어휘를 올린다는 계획이다. “한 낱말에 많게는 180개 뜻풀이가 달리기도 해서 전체 뜻 갈래는 50만개 정도가 될 것”이라고 유 교수는 밝혔다.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