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50년전 음악·영화 슈퍼스타들이 깨어났다

등록 2018-06-28 19:43수정 2018-06-28 20:11

스미스 테이프-록이 찬란했던 날들의 기록
하워드 스미스 인터뷰, 에즈라 북스타인 정리, 이경준 옮김/덴스토리·3만3000원

50년 다 돼가는 타임캡슐이 있다. 안에는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 당대 최고 스타들의 대화가 봉인돼 있다. 봉인을 풀면 그들이 하는 얘기를 옆에 있는 듯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상상만으로도 흥분된다.

상상이 아니다. 실제 그런 일이 벌어졌다.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영화감독인 하워드 스미스는 1969년 라디오 쇼를 맡았다. 막강한 영향력을 지녔기에 당대를 주름잡던 수많은 록스타, 예술가, 영화인 등과 인터뷰를 할 수 있었다. 그는 녹음된 인터뷰 릴테이프들을 다락방에 쌓아두었다. 언젠가 그 자료들로 회고록을 쓰고자 했다. 하지만 계획을 실행하지 못한 채 그는 2014년 숨을 거뒀다. 먼지를 뒤집어쓴 테이프 뭉치를 뒤늦게 발견한 건 그의 아들이었다. 이를 영화감독 에즈라 북스타인이 정리해 책으로 펴냈다. <스미스 테이프>다.

존 레넌(왼쪽)과 오노 요코(가운데)를 인터뷰하고 있는 하워드 스미스(오른쪽). 덴스토리 제공
존 레넌(왼쪽)과 오노 요코(가운데)를 인터뷰하고 있는 하워드 스미스(오른쪽). 덴스토리 제공

책에는 1969~1972년 진행한 51명과의 인터뷰가 담겼다. 가장 많은 이들은 음악가다. 비틀스의 존 레넌과 조지 해리슨, 롤링스톤스의 믹 재거, 에릭 클랩턴, 프랭크 자파 등 세계 대중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이름들이 즐비하다. 배우, 작가, 코미디언, 사업가, 정치가, 사회활동가 등도 있다. 그들은 때론 진지하게, 때론 당황스러울 정도로 민낯을 드러내며 할 말 못 할 말 다 쏟아낸다.

존 레넌과 부인 오노 요코는 1969년 12월 인터뷰를 했다. 이틀 전 둘은 세계 12개 도시에 “전쟁은 끝났다! 당신이 원한다면. 존과 요코가 해피 크리스마스를 전하며”라는 거리 광고를 했다. 존 레넌은 평화를 역설하는 한편 비틀스의 삐걱대는 속사정도 털어놓는다. 넉달 뒤 비틀스는 해체했다. 하워드 스미스가 조지 해리슨을 만난 건 비틀스 해체 2주 뒤였다. 조지 해리슨은 “비틀스가 폴과 존의 곡으로 돌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내가 끼어들겠다고 하는 게 쉽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비틀스를 하는 동안 음악적으로 마치 가방 안에 들어가 있는 것 같았다”고도 했다.

당시로선 잘 몰랐겠지만 돌아보면 대단히 중요한 순간에 한 인터뷰도 눈길을 끈다. 여성 블루스 로커 재니스 조플린은 인터뷰를 하고 나흘 뒤 호텔 방에서 약물과용으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신 주변에는 왜 여자가 없냐는 질문에 그는 “나는 공연할 때 여자들이랑 있는 게 싫어요. 여자가 많으면 남자를 두고 경쟁이 치열해지잖아요”라고 장난스럽게 답한다.

스타들의 잘 몰랐던 속살을 엿보는 재미도 있다. 유명 공연기획자 빌 그레이엄은 “그레이트풀 데드는 록 음악계에 존재하는 가장 미친 녀석들”이라며 그들의 기행을 까발린다. 도어스의 짐 모리슨은 “난 탐욕스러운 사람이다. 내 야망은 산더미 같은 금괴를 벌어들이는 것”이라고 말하다 하워드 스미스와 가벼운 신경전을 벌이기도 한다. 롤링스톤스의 믹 재거가 인터뷰 도중 뒤에서 떠드는 기타리스트 론 우드에게 “로니, 닥치라고! 그렇게 뒤에서 이빨 까지 말고, 문이나 좀 닫고 오는 게 좋을 것 같아” 하는 대목은 눈앞에 영상으로 재생되는 듯하다.

음악과 영화에 관심 있는 이라면 책 중간 어디를 펼쳐도 한 순간에 훅 빠져들 거다. 대중음악평론가 이경준의 매끄럽고 깊이 있는 번역이 읽는 맛을 더한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