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북한 영화 황금기 알려고 복식까지 다양한 자료 모았죠”

등록 2018-07-15 18:04수정 2018-07-17 16:25

【짬】 한상언영화연구소 한상언 소장

한상언영화연구소 한상언 소장. 사진 임종업 선임기자
한상언영화연구소 한상언 소장. 사진 임종업 선임기자

서울도서관(옛 서울시청)에 평양책방이 차려졌다. 북한 서적, 엽서, 그림, 포스터 등 250여점인데, 대개가 1950, 60년대 평양에서 발행됐다. 소설, 시, 희곡, 시나리오, 수필, 평론, 음악, 무용, 미술, 건축, 복식 등 여러 장르에 걸쳐있다. <조선> <조선문학> <조쏘문화> 등 잡지도 많다.

그런데 책방은 이달 3일부터 15일까지 열며, 책을 팔지도 않는다. 비닐로 꽁꽁 싸 책장 또는 유리상자에 전시한다. 표지만 볼 수 있을 뿐 들춰볼 수 없다. 책을 팔지 않는 책방이라니…. 그것도 특정 시대 북한 고서로 특화한 책방이다. 전시는 한상언영화연구소, 중앙대·한국외대 HK+ 접경인문학연구단이 공동주최하고, 책은 영화연구소 한상언(43) 소장의 소장품이다. 사연이 있을 법하다.

“3년 전 한국연구재단 공모 학술연구에 ‘월북 영화인의 삶과 예술’이 선정되면서 체계적으로 북한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어요.”

영화사 연구자인 한 소장은 일제 강점기 자료를 수집하다가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했다. 자료 속에 빈번하게 등장하던 영화인들이 해방 이후 흔적없이 사라진 것이다. 어디로 갔을까 궁금해 하다가 그들이 월북한 사실을 알게 됐다. 자료를 훑으면서 또 다른 의문이 뒤따랐다. 1960년대 그들의 흔적이 또 일제히 사라진 것이다. 알고 보니 1970년대 김일성 우상화와 함께 숙청되거나 자연사했더란다.

한 소장은 “1950, 60년대 북한 예술은 다양성이 살아있던 시기였다”고 말했다. 해방과 한국전쟁 전후, 북한은 이데올로기에 앞서 조국 건설과 재건설이 화두가 되어 사회 전반이 활기찼다는 것이다. 1970년대 그 작업이 어느 정도 달성되고 주체사상이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했다. 예술은 이념을 위한 선전도구로 전락하면서 60년대 이전 넘치던 활기와 풍부한 다양성을 잃었다.

‘월북 영화인’ 삶 추적하다 궁금
1950~60년대 ‘북한 영화’ 발견
“다양성과 활력 넘치던 장르”
70년대 ‘주체 선전도구화’로 쇠퇴

중·일 인터넷 뒤져 책 구해 연구
책 팔지 않는 ‘평양책방’ 전시도

한 소장의 관심은 25년 동안 북한에서 피어났다가 사라진 리얼리즘 영화 황금기를 복원하는 데로 모였다. 그 작업이 결실을 이뤄 <월북 영화인의 삶과 예술> 단행본 출간을 앞두고 있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은 낯설지만 알고 보면 친숙하다. 나운규와 함께 <아리랑>을 만든 주인규가 그 예다. 그는 북한의 초기 영화산업을 디자인했다. 한국전쟁 때 서울에 와 남쪽 영화인을 데려가기도 했다. 강홍식은 영화배우 최민수의 외할아버지다. 일제 강점기에 <유쾌한 시골영감> <처녀총각> 등을 부른 가수로 유명하다. 해방 뒤 북한의 국립영화촬영소 연출부 책임자가 됐다. 해방기 영화동맹 서기장이던 추민은 1946년 월북해 국립영화촬영소 부소장, 영화잡지 편집장 등을 지냈다. 윤용규 감독은 한국전 때 월북해 <소년 빨치산>, <빨치산의 처녀> 등을 찍었다. 김동인의 소설 <김연실 전>에 이름을 빌려준 김연실은 무성영화 시대의 여주인공이다. 영화배우 최은희의 시누이로, 신상옥-최은희 부부가 북한에서 활동할 때 신필름 영화에 조연으로 출연했다.

“북한에서 영화는 최적의 선전수단입니다. 좋은 콘텐츠는 대부분 연극이나 다른 장르를 거쳐 마지막에 영화로 제작됐죠.” 한설야 단편소설 <승냥이>(1951)가 1956년 연극으로, 그 이듬해 영화로 만들어지는 식이다. <꽃 파는 처녀>는 애초 항일투쟁 현장에서 연희됐던 창극으로, 해방 뒤 목격자 구술을 토대로 재구성돼 가극과 영화로 만들어지고 소설로도 나왔다. 영화는 종합예술이다. 그가 당시 북 영화를 공부하기 위해 여러 장르의 책을 수집·참고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소장품 중 박태원의 <리순신 장군전>(1952), 김학철 옮김 고골 원작의 <검찰관>(1949), 이태준의 <조국의 자유와 세계평화를 위하여>(1951)는 국내 유일본으로 추정된다. 국립중앙도서관의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서울대도서관 북한 자료와 함께 연구자한테 큰 도움이 될 듯하다. 통일부는 근년 연변에서 북한자료를 집중 구입했으며 서울대는 총련계 문학연구가 김학렬의 소장품 6천여권을 기증받은 바 있다.

북한 고서는 화가들이 장정을 한 게 특징이다. 출판사에 전속 화가가 있었으며 한설야와 같은 유명작가 책은 일류 화가를 붙였단다. <청춘기>(1958)는 정현웅, <탑>(1956)은 선우담, <설봉산>(1956)은 정관철, <성장>(1961)은 이건영(한국화가 청전 이상범의 아들), 배운성이 장정 또는 삽화를 맡았다. 박태원 <리순신 장군전>, <임진조국전쟁>(1960)은 그의 동생 박문원이 맡았다. 해방 전 <천변풍경>(1938)에 이은 형제 협업이다. 해방기 북한 최고 시인으로 꼽는 조기천의 시 선집 장정도 박문원 몫이었다.

단골도 생겼다. 박태원의 차남 박재영씨는 매일 출근하다시피 한다. “책을 보며 마치 아버지를 대하듯 하시더군요.” 박씨는 한 소장과 의기투합해 내년 박태원 탄생 11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를 만들기로 했다고 한다. 한 소장은 관객들이 이런 자료를 어떻게 구입했는지 가장 궁금해하더라면서 중국과 일본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샀다고 했다. 한 권에 30만원 이상 들었다고도 했다. 임종업 선임기자 blitz@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어도어와 계약 해지한 뉴진스, 왜 소송은 안 한다 했을까 1.

어도어와 계약 해지한 뉴진스, 왜 소송은 안 한다 했을까

마산 앞바다에 비친 ‘각자도생 한국’ [.txt] 2.

마산 앞바다에 비친 ‘각자도생 한국’ [.txt]

‘아버지’ 된 정우성 “아들 책임 끝까지…질책은 안고 가겠다” 3.

‘아버지’ 된 정우성 “아들 책임 끝까지…질책은 안고 가겠다”

‘정년이’ 큰일 했다…여성국극 연일 매진, 신작 제작도 활발 4.

‘정년이’ 큰일 했다…여성국극 연일 매진, 신작 제작도 활발

“잘근잘근 밟아…” 흑백요리사 최종 우승 ‘흑수저 셰프’ 사과 5.

“잘근잘근 밟아…” 흑백요리사 최종 우승 ‘흑수저 셰프’ 사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