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등단 15년차, 낯선 시인의 절창을 만났다

등록 2018-08-02 18:57수정 2018-08-02 19:21

거기 그런 사람이 살았다고
송진권 지음/걷는사람·9000원

이름만 ‘시골밥상’이 아니라, 산 높고 골 깊은 어느 벽촌에서 등 굽은 할머님이 차려 주신 밥을 배불리 먹은 듯하다. 송진권(사진)의 시집 <거기 그런 사람이 살았다고>를 읽고 난 느낌. 단순히 시골이 배경이라서만은 아니다. 이즈음 시들에서 만나기 힘든 전통적 가치와 지혜가 정겨운 토속어와 어우러져 빚어내는 정경(情景)이 가히 절창이라 할 만하다. 2004년 등단해 시집과 동시집을 한 권씩 펴낸 바 있는 이 시인에 대해 무지했던 자신을 책망하게 된다.

“탱자 가시로 살을 발라 먹고/ 이남박에 던진 올뱅이 껍질이 데구르르 구르다 멈춘 데쯤/ 올뱅이 껍질 부딪히는 소리 모이는 데에/ 우리 동네는 있습니다// (…) // 올뱅이 껍질 속 같은 꼬부랑길을 걸어 밭에 가던 할머니가/ 즘잖은 양반이 왜 여기서 이랴 하며/ 길 잘못 든 두꺼비를 물 쪽으로 타일러 돌려보내는 때/ 해바라기는 환하게 불을 켜고 길 밝히고요”(‘우리 동네’ 부분)

올뱅이 껍질이 내비게이션을 대신하고 길 잃은 두꺼비를 위해 해바라기가 환하게 불 밝혀 주는 곳, 그곳에 가고 싶다. 그곳 느티나무슈퍼에는 “말매미만큼 늙은 할머니”가 있고, 담배를 사러 간 시인은 “기다랗게 거미줄을 늘여 타고 내려온 거미에게는 막대사탕을/ 유리문 시끄럽게 두들기는 사슴벌레에게 알사탕을 들려 보내고” “막걸리를 마시며 ‘겨’로 끝나는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이상 ‘느티나무슈퍼’)는다.

그 동네의 집 안 풍경은 어떨까.

송진권 시인
송진권 시인

“외양간 들여다보니 송아지가 주무시고/ 아궁이 들여다보니 강아지 떼 오글오글 주무시고/ 돌 밑엔 쥐며느리 지네 달팽이 주무시고/ 두엄 속엔 굼벵이 말갛게 주무시고/ 사랑방 들여다보니 할아버지가 주무시고/ 밤 한 톨 오도독 깨물어 들여다보니/ 보얀 밤벌레 한 쌍 원앙금침에 주무시고”(‘들여다보니’ 부분)

송아지와 쥐며느리와 할아버지가 차별도 갈등도 없이 동서(同棲)하는 곳, 찬물구덩이 하나를 “찬물구딩이 찬물구뎅이 찬물샴 찬물샘/ 찬물웅덩이 찬물웅뎅이 찬물소”(‘찬물구덩이의 물’)로 다채롭게 일컫는 곳, 앞산을 더듬어 내려와 논물에 발자국을 찍으며 마당에 들어온 비가 아픈 이의 안부를 챙겨 묻는 곳. 생명이 존중 받고 ‘스스로 그러함’(자연)이 당위로 여겨지는 이 세계로부터 우리는 얼마나 멀리 떠나온 것일까.

“풀썩 먼지 나는 마당을 지나와/ 처마에 그렁그렁한 눈으로 맺혀 들여다보신다/ 어디가 얼마나 아프냐고/ 아파도 꼭꼭 밥은 챙겨 먹으라고/ 흥건하게 지나가신다”(‘비 들어오신다’ 부분)

퇴행이며 현실 도피라는 말로 이런 세계에 시비를 걸 수도 있겠다. 그러나 첨단과학과 최신 이론의 시대일수록 송진권의 시가 환기시키는 ‘마음’의 진보, ‘마음’의 실천이 더욱 긴요하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며느리 불 때기 좋으라고 가시 달린 나무는 빼고/ 맞춤한 크기로 나무를 잘라 들여주던 마음” “물독 터지는 소한 추위에/ 송아지 춥지 말라고 아궁이 앞에 들여주던 마음들” “등에 업힌 어린것에게 아궁이를 헤집어/ 호호 불어가며 먹이던 고구마 같은/ 훈김 나는 마음들”(이상 ‘아궁이 들여다보기’) 말이다.

최재봉 기자, 사진 걷는사람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