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책그림 민화’에서 걸어나온 두 소녀의 우정

등록 2019-04-12 06:01수정 2019-04-12 19:38

세련미 지닌 민화 ‘책가도’ 배경
두 소녀 마음 이은 책 이야기로
책이 흔한 시대 ‘이색 과거 여행’
책冊
지현경 글·그림/책고래·1만3000원

요즈음 책은 누구나 쉽게 가질 수 있다. 심지어 폐지더미로 무게를 달아 넘겨지기도 한다. 출판기술 발달 덕분에 쉽게 찍어내고 쉽게 버릴 수 있는 책, 귀한 걸 잊고 산다. 영상이 대접받는 시대, 책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책>을 제목으로 세운 이 그림책은 책을 사이에 둔 두 소녀의 우정을 통해 책의 향기를 전한다. 양반과 평민이란 신분을 넘어서 생각을 잇고 성장시키는 공간이 책놀이터다. 조선 후기 유행했던 책그림 민화 <책가도>를 옮겨놓은 듯한 옛서재를 배경으로 따스한 이야기를 입혔다.

책이 희귀했던 시절로 들어가 보자. 일일이 붓으로 글을 쓴 다음 구멍을 뚫어 제책을 하고 필사를 통해야만 책을 유통시킬 수 있던 시절, 책 속 지식은 극소수의 전유물일 수밖에 없었다. 양반집 아이 연이는 책을 갖춘 집에 산다. 책과 골동품, 모란꽃 등이 단아하게 그려진 <책가도> 속 서재는 책벌레 연이의 놀이터다. 색동저고리 차림의 연이는 또래 아이들과 어울리는 대신 늘 책에 얼굴을 파묻고 산다. 무명저고리를 입고 말동무가 되어주려 연이네를 찾은 순이는 방구들이 내려앉을 만치 쌓인 책을 보고 놀란다. 평민인 순이로서는 진귀한 광경이 아닐 수 없다.

쓰고 또 쓰고, 다독의 힘을 보여주는 연이. 이를 재미있게 읽는 독자 순이. 책고래 제공
쓰고 또 쓰고, 다독의 힘을 보여주는 연이. 이를 재미있게 읽는 독자 순이. 책고래 제공
연이는 순이가 있는지 없는지 눈길도 주지 않은 채 책에서 눈을 떼지 않는다. 순이도 채근하지 않고 연이가 밀쳐둔 책을 보다 집으로 돌아가곤 한다. 그러는 사이 순이도 책의 세계로 빠져든다. “집에 가져가도 돼.” 연이가 슬쩍 내민 책 한 권의 선물로 둘의 경계는 허물어진다. 책 한 권이 얼마나 귀했으면, 책을 안고 하늘을 나는 순이의 모습은 세상을 다 얻은 듯하다.

책 한 권을 순이에게 슬쩍 내미는 연이. 책고래 제공
책 한 권을 순이에게 슬쩍 내미는 연이. 책고래 제공

다독으로 넘쳐흐르는 연이의 생각 창고에선 이야기가 술술 풀려나오고, 순이는 산길을 오가는 길에서 만난 꽃과 나비 이야기며, 쉴 새 없이 종알댄다. 책 속에만 빠져 있던 연이는 이제 바깥세상을 글에 녹이는 작가가 될까? 책 속 무궁한 이야기에 빠진 순이는 커서 책을 만드는 편집자가 될까? 순이네 집에서 일어난 기적같은 마지막 장면을 보며 책 이야기를 나눠봐도 좋겠다.

동생을 돌보려 떠난 순이를 찾아나서는 연이. 책고래 제공
동생을 돌보려 떠난 순이를 찾아나서는 연이. 책고래 제공

사실 이 책은 민화가 변주된 그림책이라 할 만하다. 디자인을 전공하고 10여년간 민화 작업을 해온 지현경 작가는 격자문양의 책이 빚는 민화의 현대적 미감에 주목했다. <책가도>는 한 구도에 모든 걸 담는 서양 입체파의 세련미를 지녔다. 전통적인 해학미가 풍기는 <화조도> <접묘도> 등에 나오는 새와 꽃, 개와 고양이, 나비가 두 주인공과 어우러지며 민화의 아름다운 세계로 이끈다. 지 작가는 민화의 느낌을 잘 살리려고 “한지에 커피로 물을 들였다”고 한다. 사각형을 이루는 책과 책장은 파란색 외곽선으로 처리해 깔끔한 추상미를 더한다. 초등 1학년 이상.

권귀순 기자 gskwon@hani.co.kr, 책고래 제공

‘마을 도서관’이 된 순이네 집. 책고래 제공
‘마을 도서관’이 된 순이네 집. 책고래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비밀의 은행나무숲’ 50년 만에 첫 일반 공개 1.

‘비밀의 은행나무숲’ 50년 만에 첫 일반 공개

“노벨상 작가 글이니”…쉽게 손댈 수 없었던 오자, ‘담담 편집자’ 2.

“노벨상 작가 글이니”…쉽게 손댈 수 없었던 오자, ‘담담 편집자’

한승원 작가 “깜빡 잊고 있다가, 세상이 발칵 뒤집힌 느낌이었죠” 3.

한승원 작가 “깜빡 잊고 있다가, 세상이 발칵 뒤집힌 느낌이었죠”

일본 독자 30명, 박경리 ‘토지’ 들고 ‘아리랑’ 부른 이유 4.

일본 독자 30명, 박경리 ‘토지’ 들고 ‘아리랑’ 부른 이유

1600년 전 백제인도 토목공사에 ‘H빔’ 사용했다 5.

1600년 전 백제인도 토목공사에 ‘H빔’ 사용했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