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물렁물렁 힘 빼고 던지는 묵직한 질문

등록 2020-03-06 06:01수정 2020-03-06 09:34

가끔 사는 게 창피하다
김소민 지음/한겨레출판·1만3500원

출판사는 이 책을 에세이로 분류했다. 막상 읽어보니 에세이 같기도 하고, 서평 모음 같기도 하고, 일기장 같기도 하고, 철학책 같기도 하다. 어쨌든 재미있다.

책 갈피를 넘길 때마다 저자 특유의 유머가 가을 뚝방길 메뚜기처럼 튀어나온다. ‘이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사직서를 낸 저자는 백수로 한달을 지내고 ‘퇴사를 해도 깨달음 따위는 오지는 않는다. 고지서만 온다’고 말한다. ‘퇴사 1년, 흰머리가 쑥대밭이다’가 1부 책 제목이다.

20, 30대를 <한겨레> 기자 등으로 일했던 저자는 ‘40대 싱글 백수 여성’이다. 가족과 패키지 여행을 갔을 때 점심 식사 자리에 합석한 중년 여성이 ‘아이들은 다 컸을 거 아니에요’라고 물었다. 저자가 ‘난자가 수정된 적도 없다’고 하니 아주머니가 당황해 물을 들이켰다는 이야기를 그냥 풀어놓는다.

‘학생도 아니고 직장인도 아니고 싱글에 아이도 없지만 아줌마 또는 어머니로 불리는 나는 누구인가’란 무거운 고민을 저자는 팝업창처럼 툭툭 보여주고 풀어나간다. 이 책은 ‘타인에게 상처받고 괜찮은 척, 나에게 상처주고 아닌 척했던 지난날’과 ‘세상에 휘둘려 말하지 못한 나의 긴 이야기’를 담았다. 실실 웃으며 읽다가 시나브로 ‘그렇구나’라고 고개를 끄덕이다 책을 덮을 때는 ‘그럼 나는 누구인가’라고 자문하게 된다.

운동 입문자들이 많이 듣는 말이 ‘몸에 힘을 빼라’다. 글도 마찬가지다. 어깨에 힘만 잔뜩 주고 시국을 논하는 맥없는 글들이 흘러넘치는 요즘, 물렁물렁하면서도 인간과 세상에 대한 묵직한 사색이 담긴 이 책을 읽으며 글의 힘을 새삼 느낀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