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 ‘마을에 해답이 있다’ 공저 임현진·공석기 교수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사회학)와 공석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가 최근 <마을에 해답이 있다>(진인진)를 펴냈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국내외 50여곳 마을을 돌아다니며 연구한 결과물이다. 한국 사회학 원로인 임 교수와 반세계화를 연구하던 공 교수는 왜 ‘마을’에 방점을 찍었을까?
지난 18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연구실에서 만난 저자들은 “자칫 한국사회가 ‘두 개의 국민’으로 분열될 수 있는 위기의 순간”이라고 입을 모았다.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 정규직과 비정규직, 도시와 농촌, 젠더 및 세대 사이에서 불거지는 갈등들이 그 방증이다. 저자들은 마을이 이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실천적 단위라고 말했다. 마을은 “사회생활의 집합이자 경제활동의 기본 장소”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거주하는 행정동을 넘어 공동체성을 회복했을 때 마을의 기능이다.
그렇다고 끈끈한 유대감으로 뭉쳐있던 예전 마을 모습으로 돌아가자는 것은 아니다. 임 교수는 과거처럼 돌아갈 수도 없고, 돌아가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대신 ‘가벼운 공동체’를 제안한다. “지금은 신속성과 적응성이 부각되는 때입니다. 공동체에 누구나 쉽게 들어오고, 쉽게 적응하고, 또 쉽게 옮겨갈 수도 있어야 합니다.”(임현진) 저자들은 가벼운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는 매개로써 근래 지역과 마을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회적 경제 활동에 주목했다. 연구한 사례들은 끈기·혁신·협치·소통·참여의 갈래로 구분했다. 가벼운 공동체가 유지되고 지속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인들이다. 각 요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선순환할 때 마을이 살아나게 된다.
마을의 새로운 동력은 청년이다. 청년들은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에너지 그 자체이기도 하다. “지역에 다니다보면 ‘요즘 청년들 끈기가 없다’라는 말씀들 많이 하세요. 하지만 끈기는 개인의 것일 수도 있고 지역의 것일 수도 있어요. 여러 가지 상호작용 속에서 함께 만들고 가꿔가는 겁니다.”(공석기) 청년 지원 프로그램이 아무리 많아도 그들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없다면 결국 청년들은 떠난다고 한다. 청년들을 주요 이해관계자로 거버넌스에 참여시키고, 청년들을 열린 마음으로 환영하고 그들을 품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청년들도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존중하고, 기존 주민들과 소통하고 협력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개인과 지역의 신뢰와 끈기가 쌓인다는 것이다.
5년여 국내외 50여곳 마을 연구
“마을, 행정동 넘어 공동체 회복을
진입과 퇴출 쉬운 ‘가벼운 공동체’
사회적 경제 통해 구현할 수 있어” “마을 의사결정, 청년 참여시키고
청년들은 마을 역사·문화 존중을” 해외의 경우 마을에 오랫동안 축적된 신뢰와 여러 이해관계자가 함께 참여하는 방식이 인상 깊다고 했다. 예컨대 일본 규수 미야자키현 아야정은 풍부한 조림과 깨끗한 물 덕분에 농산물이 유명한데, 지역의 중소기업이 긴밀하게 결합해 여러 가공식품을 적극적으로 개발·유통한다고 한다. 대형마트가 유통망을 틀어쥐고 있는 우리나라와 여러모로 비교된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전국의 천편일률적인 ‘마을 살리기’ 사업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마을마다 특색이 다 다른데 정책들은 비슷비슷합니다. 6개월, 1년짜리 단기 사업도 많죠. 늦게 가는 듯 보여도 먼저 공동체에 대한 성찰과 이해관계자들의 논의가 이뤄져야 합니다.”(공석기) 마을 구성원들이 공감한 비전 아래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응당 당연한데, 현재 관 주도 하향식(탑다운) 진행에서는 성과와 지표만 부각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방향에 대한 공감대 없이 짧은 호흡으로 사업이 진행되니 사업마다 연결성도 낮고, 새롭게 유입된 청년들은 사업이나 보조금이 끝나면 마을을 떠나는 사례도 종종 발견된다. 거듭되다 보면 기존 마을 사람들은 새롭게 마을로 유입되는 이들을 백안시하고, 새롭게 들어온 이들은 배타적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떠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마을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공 교수는 물리적 거리를 강조했다. “성인이 하루 동안 구석구석 여유롭게 걸어 다닐 수 있는 정도겠죠. 마을 사람들이 삶 속에서 끊임없이 서로 만나 소통하고 참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양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연구원 ey.yang@hani.co.kr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좌) 공석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우). 양은영 선임연구원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좌) 공석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우). 양은영 선임연구원](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600/450/imgdb/original/2020/0831/20200831503187.jpg)
임현진 서울대 명예교수(좌) 공석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우). 양은영 선임연구원
“마을, 행정동 넘어 공동체 회복을
진입과 퇴출 쉬운 ‘가벼운 공동체’
사회적 경제 통해 구현할 수 있어” “마을 의사결정, 청년 참여시키고
청년들은 마을 역사·문화 존중을” 해외의 경우 마을에 오랫동안 축적된 신뢰와 여러 이해관계자가 함께 참여하는 방식이 인상 깊다고 했다. 예컨대 일본 규수 미야자키현 아야정은 풍부한 조림과 깨끗한 물 덕분에 농산물이 유명한데, 지역의 중소기업이 긴밀하게 결합해 여러 가공식품을 적극적으로 개발·유통한다고 한다. 대형마트가 유통망을 틀어쥐고 있는 우리나라와 여러모로 비교된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전국의 천편일률적인 ‘마을 살리기’ 사업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마을마다 특색이 다 다른데 정책들은 비슷비슷합니다. 6개월, 1년짜리 단기 사업도 많죠. 늦게 가는 듯 보여도 먼저 공동체에 대한 성찰과 이해관계자들의 논의가 이뤄져야 합니다.”(공석기) 마을 구성원들이 공감한 비전 아래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응당 당연한데, 현재 관 주도 하향식(탑다운) 진행에서는 성과와 지표만 부각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방향에 대한 공감대 없이 짧은 호흡으로 사업이 진행되니 사업마다 연결성도 낮고, 새롭게 유입된 청년들은 사업이나 보조금이 끝나면 마을을 떠나는 사례도 종종 발견된다. 거듭되다 보면 기존 마을 사람들은 새롭게 마을로 유입되는 이들을 백안시하고, 새롭게 들어온 이들은 배타적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떠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마을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공 교수는 물리적 거리를 강조했다. “성인이 하루 동안 구석구석 여유롭게 걸어 다닐 수 있는 정도겠죠. 마을 사람들이 삶 속에서 끊임없이 서로 만나 소통하고 참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양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연구원 ey.yang@hani.co.kr
연재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