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하고 포용하는 ‘네박자 뽕짝’의 힘
엘리트주의와 반일 정서로 무시·폄하된 트로트의 뿌리 정밀탐색
민중과 함께 울고 웃은 노래 대중화되기까지 곡절 흥겹게 전개
엘리트주의와 반일 정서로 무시·폄하된 트로트의 뿌리 정밀탐색
민중과 함께 울고 웃은 노래 대중화되기까지 곡절 흥겹게 전개
장유정 지음/따비·1만7000원 “니가 기쁠 때 내가 슬플 때 누구나 부르는 노래”, “나 그리울 때 너 외로울 때 혼자서 부르는 노래”, “사랑도 있고 이별도 있고 눈물도 있”는 노래. 이 노래 앞에서는 “내려보는 사람도 위를 보는 사람도” “내가 잘난 사람도 지가 못난 사람도” “어차피 쿵짝”이다. “울고 웃는 인생사”, “연극 같고 소설 같은 세상사”는 “모두가 네 박자 쿵짝”이다. 한국사회에 한참 울려 퍼지고 있는 트로트가 소재이자 주제인 노래 송대관의 ‘네 박자’(1998)다. 이 노래를 작사한 김동찬은, 트로트를 무시하고 천대하는 사람들에 대한 일종의 반항으로 ‘네 박자’를 지었다고 한다. <트로트가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역시 트로트의 역사를 살펴 오해를 불식하고 무시와 천대를 넘어서 의미를 부여하려는 시도다. “가수가 되고 싶었으나 부족한 끼와 재능이 발목을 잡더니만 운명은 음악 역사를 연구하는 길로 이끌었다”는, ‘노래에 미쳐 노래에 사는 (대중)음악사학자’ 장유정 단국대 자유교양대학 교수가 지었다. 이 책이 담고 있는 핵심 문제의식은 트로트의 뿌리다. 이른바 ‘왜색 시비’, 트로트가 일본 엔카에서 나왔거나 큰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맞냐는 것이다. 최초의 트로트 논쟁은 이미자의 ‘동백아가씨’(1964)에서 시작됐다. 1960년대 대중가요는 크게 ‘팝’과 ‘트로트’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동백아가씨’는 트로트 부흥의 기폭제였다. 팝 계열은 미8군 무대와 주한미군방송(AFKN) 등 미국 영향이 명확한 반면, 트로트는 해방 이후 반일 풍조의 영향 속에 왜색 시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우여곡절 끝에 ‘동백아가씨’는 1965년 방송금지, 1968년 음반 제작 금지 처분을 받게 된다. 트로트 천대는 일반으로까지 확장되어왔다. ‘네 박자’ 노랫말이 본래 ‘뽕짝’에서 ‘쿵짝’으로 바뀐 것은, ‘뽕짝’에 대한 일반 인식을 대변한다. 지은이는 트로트 왜색 시비와 관련한 통념을 조목조목 반박한다. 한·일 수교를 앞둔 군사정부가 반일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동백아가씨’에 ‘왜색’ 딱지를 붙였다는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 지금까지도 전해져오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이른바 ‘음악 엘리트’들의 편견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이다. ‘동백아가씨’ 열풍에 반감을 지닌 서양 음악 전공자와 방송사 음악 담당 실무자들이 원인이라는 설명이다. 음악 엘리트들이 왜색이라 찍은 낙인은 이후 1980년대 후반 ‘노래 운동’의 일환으로 대중음악을 연구한 이들에 의해 강화됐다고 지은이는 짚는다. 트로트 자체가 체제 순응적이며 일제가 식민지배를 위해 이식시킨 것이라는 일각의 주장의 바탕에는 일본 ‘엔카’와 트로트가 같은 갈래라는 믿음이 깔려 있었다는 것이 지은이의 견해다. 그러나 1920~30년대 서양 음악을 받아들여 일본화한 노래는 1960년대에 이르러 엔카로 명명됐다. 이미 일제강점기에 태동한 한국 트로트가 엔카라고 설명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지은이는 “일본에서 서양음악을 받아들여 일본화하고 있을 때, 한반도에서도 서양 음악과 일본 음악을 받아들여 한국의 대중음악이 탄생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왜색 시비에도 트로트는 한반도 민중과 함께 울고 웃어왔다. 일제강점기 인기를 끈 노래 중 ‘카츄사의 노래’ ‘이 풍진 세월’(희망가) 등 일본 노래의 번안곡도 있었지만, ‘황성의 적’(황성옛터) ‘목포의 눈물’ 같은 노래는 식민지에서 살아가는 분노와 슬픔, 설움을 달랬다. 이후 동족상잔의 전쟁이 터져 고향을 잃고 떠도는 이들에겐 ‘가거라 삼팔선’ ‘굳세어라 금순아’ ‘이별의 부산 정거장’ ‘단장의 미아리고개’ 등이 위로가 됐다. 전쟁이 끝나고 힘겨운 삶을 이어간 1960년대엔 이미자와 배호가 트로트를 이끌었는데, ‘동백아가씨’를 비롯해 ‘흑산도 아가씨’ ‘황포돛대’ ‘빙점’ ‘섬마을 선생님’ ‘황혼의 블루스’ 등 이미자의 노래는 “트로트 토착화에 성공하는 한편, 향토적인 정서를 드러내면서 전통의 노래로 인식”되는 데 기여한다. ‘돌아가는 삼각지’ ‘안개낀 장충단공원’ ‘비 내리는 명동’ 등을 저음으로 불러 인기를 끈 배호는 노래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도시의 정서”를 노래했다. 재건과 개발이 주요 화두였던 시기 이촌향도의 시대상이 트로트에 반영된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