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핫한 남녀의 조신한 대화…‘솔로지옥’은 새로운 ‘오징어 게임’

등록 2022-01-18 04:59수정 2022-01-18 08:56

[기고] 넷플릭스 ‘솔로지옥’ 인기 이유

전세계 넷플릭스 시청률 10위권
끊임없이 육체적 매력 보여주지만
넘어서는 안될 ‘유교의 선’은 지켜

서구적 예능 포맷+한국인 출연자
육체보다 정신적 감정 교류에 집중
해외서도 “친절, 달콤, 정직” 호평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솔로지옥>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솔로지옥>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한국판 <투 핫>. 이 말을 들었을 때를 기억한다. 아무리 넷플릭스라고는 해도 한국판 <투 핫>이라고? 넷플릭스가 2020년도에 내놓은 미국 데이팅 예능 <투 핫>은 노골적인 프로그램이다. 하루 세끼 닭가슴살만 먹고 하루 3시간 체육관에 처박혀서 복근을 만들 것 같은 남녀들을 작은 섬으로 몰아넣는다. 조건이 하나 있다. 우승을 위해서는 섹스를 하면 안 된다. 출연자들은 이걸 듣는 순간 말도 안 된다는 듯 신음 소리를 내뱉는다. 역시 미국이다. 아무리 한국이 성적으로 개방된 국가라고 해도 이런 예능에 출연할 출연자는 없다. 이런 예능을 받아들일 시청자도 없다.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lt;솔로지옥&gt;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솔로지옥>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솔로지옥>이 공개되자 나는 역시 유교국에서 <투 핫>을 만들 수 있을 리가 없다며 안도(?)했다. 이건 생각만큼 급진적인 예능은 아니다. 여전히 하루 세끼 닭가슴살만 먹고 하루 3시간 체육관에 처박혀 복근을 만들 것 같은 남녀들로 가득하지만 섹스는 없다. 키스도 없다. ‘핫’바디를 가진 남녀들은 이상할 정도로 조신하게 자리에 앉아 어색하게 인사를 건넨다. 에스비에스(SBS)플러스에서 <짝>의 포맷을 아주 약간 손봐서 만든 <나는 솔로>와 근본적으로 다른 부분은 없다. 가만 생각해보면 <나는 솔로>와 <솔로지옥>의 차이점은 오로지 출연자들의 육체적 매력뿐이다. 아니다. <나는 솔로> 출연진을 비하하려는 게 아니다. 두 예능이 노리는 부분이 달랐다는 말을 하려는 것이다.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lt;솔로지옥&gt;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솔로지옥>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한국 데이팅 예능은 <짝>의 종영 이후로 조금 다른 길을 걸어왔다. 지난 몇년 동안 큰 성공을 거둔 데이팅 예능은 카카오티브이(TV)의 <체인지 데이즈>, 티빙의 <환승연애>였다. 이 프로그램들은 서로 전혀 모르는 남녀를 한정된 장소에 집어넣고 어떤 일이 벌어질까를 지켜보는 전통적인 데이팅 예능과는 달랐다. <체인지 데이즈>는 이별을 고민 중인 커플들이 다른 이성과 데이트를 하며 옛 연인과 새로운 사람 앞에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었다. <환승연애>는 이미 이별한 커플들이 서로가 전 연인이라는 사실을 숨기고 다른 이성들과 차례로 데이트를 하는 콘셉트의 프로그램이었다.

사실 이건 너무나도 한국적인 변용이다. 해외 데이팅 예능에서 중요한 건 출연자들의 매력이다. 거기에는 당연히 성적인 매력도 포함된다. <체인지 데이즈>와 <환승연애>는 출연자들을 ‘이별을 고민 중인 커플’이나 ‘이미 이별한 커플’로 제한하며 오래된 예능의 포맷을 살짝 뒤튼다. 한국 데이팅 예능에서 중요한 건 출연자들의 성적 매력이 아니다. 그들이 정신적으로 맺는 ‘관계’다. <체인지 데이즈>와 <환승연애>는 이미 모종의 관계가 있던 출연자들이 새로운 사람과 데이트를 하면서 겪는 내적 갈등에 더 집중한다. 그것이 유교국 한국에서 데이팅 프로그램이 내세울 수 있는 최선의 무기일 것이다.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lt;솔로지옥&gt;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솔로지옥>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솔로지옥>은 거기서 벗어나려 애쓴다. 카메라는 끊임없이 출연자들의 육체적 매력을 보여주려 용을 쓴다. 남성 출연자들이 수영복 위에 숄을 걸치고 지긋이 바라보는 여성들 앞에서 닭가슴살과 프로틴으로 만든 몸을 뽐내려고 안간힘을 쓰는 장면은 <솔로지옥>의 시각적 클라이맥스 혹은 웃음 포인트 중 하나다. 암컷을 꾀려 화려한 깃털을 흔들며 춤을 추는 극락조 무리를 떠올려보시라. 몇몇 장면에서는 나도 비명을 질렀다. 여성 출연자가 관심 있던 남성 출연자에게 그냥 같은 침대에서 자라며 “설레서 잠이 안 올 것 같아?”라고 말하는 순간은 한국 데이팅 예능의 새로운 역사였다. 나는 사실 거기서 더 나아가는 장면이 나오는 순간 기립박수를 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런 순간은 오지 않았다.

<솔로지옥>의 성적인 긴장감은 “옆에서 자” 이상을 치고 올라가지는 않는다. 만든 사람들도 출연한 사람들도 이게 결국 한국 예능이라는 사실은 잘 알고 있다. 여전히 우리에게는 넘어서는 안 되는 어떤 선이 존재한다. 그러니 어떤 면에서 <솔로지옥>은 ‘핫한 사람들’(이 시리즈를 만든 피디들이 강조한 단어다!)의 <나는 솔로>에 가깝다. 누가 누구를 좋아하는 척하면서 다른 사람을 좋아하고, 누가 누구를 좋아하지만 말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기만 하는지, 팽팽하게 당겨져서 파르르 떨리는 출연자들의 감정이야말로 <솔로지옥>을 보는 가장 큰 즐거움이다. 결국 제작진은 서구적인 데이팅 예능의 포맷에 한국인들을 집어넣음으로써 여전히 아주 한국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낸 셈이다.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lt;솔로지옥&gt;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솔로지옥>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그렇다면 마지막 질문이 남는다. 어떻게 <솔로지옥>은 전세계 넷플릭스 시청률 10위권을 차지할 만큼 국제적인 성공작이 됐는가? 한국 시청자들은 이것이 지금까지 한국에서 본 적 없는 ‘핫’한 데이팅 예능이라고 생각하지만 미국 시청자들이 아이엠디비(imdb) 사이트에 남긴 리뷰들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한 시청자는 “서구 데이팅 예능은 시끄럽고 선정적이다. 그게 재미있는 동시에 오글거리는 포인트다. <솔로지옥>은 문화적인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별로 벌어지는 일이 없다. 당신이 정신 나간 예능을 바란다면 이건 그런 게 아니다. 이 프로는 그저 아름답다”고 썼다. 다른 시청자는 “미국에 존재하지 않는 문화를 엿볼 수 있어 흥미로웠다. 부드럽고 친절하고 달콤하고 정직하다”고 썼다.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lt;솔로지옥&gt;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한국에서 만든 넷플릭스 데이팅 예능 <솔로지옥>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솔로지옥>은 새로운 <오징어 게임>이다. <오징어 게임>은 서구적인 장르를 한국적으로 변용해 국제적인 성공을 거뒀다. 한국 시청자들이 지적했던 ‘신파’는 해외 시청자들에게는 전혀 다른 문화적 즐거움으로 받아들여졌다. 구슬치기 에피소드를 보며 오열하는 해외 유튜버들의 동영상을 당신은 얼마든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솔로지옥>도 마찬가지다. 해외 데이팅 예능과 같지만 다르다. 출연자들이 얼마나 핫한 페이스와 핫한 바디를 가졌느냐에 상관없이 한국 데이팅 예능은 육체보다 감정의 교류를 시청자들에게 전달하는 데 더 집중한다. 그러니까 이건 결국 유교걸 유교보이들의 예능이다. 조신하다. 그 조신함이 <솔로지옥>을 ‘케이(K)-데이팅 예능’의 <오징어 게임>으로 만들고 있다는 건 정말이지 재미있는 아이러니일 것이다. 그러니 나는 넷플릭스에 다음 시즌 홍보문구를 이렇게 바꾸는 것이 어떨까 제안하고 싶다. 부드럽고 친절하고 달콤하고 정직한 ‘케이-지옥’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김도훈 작가 겸 대중문화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