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 스틸컷. 넷플릭스 제공
“여러 좀비물이 있는데, 대부분 성인들에게 벌어지는 이야기들이 많잖나. 이건 폐쇄된 공간에서 아직 성숙하지 못하고 사회화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는 학생들에게 벌어지는 일이다. 어린이는 어리다고 하고 어른들에겐 어른스럽다고 하는데, 이 젊은 학생들이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지 지켜보는 것은 재미도 의미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좀비물이라면 또 다른 의미도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넷플릭스 새 오리지널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을 연출한 이재규 감독은, 26일 온라인으로 열린 제작발표회에서 학원 좀비물로서의 차별점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동명의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지금 우리 학교는>은 좀비 바이러스가 발생한 학교에서 고립된 채 구조를 기다리던 학생들이 살아남기 위해 함께 손잡고 사투를 벌이는 이야기로, 오는 28일 공개된다.
26일 오전 열린 <지금 우리 학교는> 제작발표회에 참석한 임재혁, 이유미, 박지후, 조이현, 로몬, 유인수, 이재규 감독, 윤찬영(뒷줄 맨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넷플릭스 제공
드라마 <다모> <베토벤 바이러스>, 영화 <완벽한 타인>을 연출한 이 감독은 큰 인기를 얻은 원작 웹툰을 드라마화한다는 것에 대해 부담감은 피할 수 없었다고 했다. 그는 “부담이 항상 있었다”며 “레전드인 명작 웹툰이고, 그래서 주동근 작가님과 만나서 얘기를 나누며 작가님이 생각한 지점들을 맞추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했다. 또 “이 이야기를 통해 사람들이 어떤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지, 우리가 조금 더 인간답다, 어른답다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지, 보고 나면 가슴이 먹먹하고 삶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드라마가 됐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임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제작발표회에는 출연 배우 박지후, 윤찬영, 조이현, 로몬, 유인수, 이유미, 임재혁도 함께했다. 이들 출연진도 <지금 우리 학교는>이 기존 좀비물과 다른 점에 대해 귀뜀했다. 박지후는 “교복을 입은 좀비라든지 양호실, 급식실에서 나오는 좀비도 있다”며 “헤어롤을 만 좀비도 나온다”고 했다. 조이현은 “기존 좀비들도 멋지지만 이번엔 더 빠르고 역동적이다”라며 “성향이 다 다른 좀비로 표현한 게 강점”이라고 전했다. 유인수는 “오락성을 갖춘 것은 물론,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저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바이러스라는 주제를 갖고 조금은 더 현실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좀비물이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임재혁은 “기존 좀비물은 총을 쏘거나 군인이 등장하는 등 스케일이 큰 편”이라며 “여기선 학교 안에서 벌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책상, 대걸레 이런 것들로 좀비들과 싸우는 게 많다. 그런 게 큰 차별점이 아닐까”라고 밝혔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 스틸컷. 넷플릭스 제공
촬영 중 에피소드도 공개됐다. 영화 <벌새>(2019)로 주목받는 신인으로 떠올랐던 박지후는 “실제 촬영 당시에 고등학생이었다”며 “촬영장에서 언니 오빠들에게 입시 상담도 받고 인생 조언도 들으며 1년을 보냈다”고 했다. 출연 배우들 중 가장 나이가 어린 박지후는 촬영 현장에서 동료 배우들에게 “삼촌, 이모, 진지 잡수셨어요? 커피는 드셨어요?”라고 예의 바르게 챙기는 바람에 ‘아기천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청산 역의 윤찬영은 박지후가 맡은 역인 온조의 이름표를 한동안 갖고 다녔다고 밝혀 시선을 모았다. 그는 “청산이는 항상 제 목숨보다 온조를 중요시하는 인물이다. 그런 성격이 내게 자리 잡길 원했다. 평소에도 온조를 많이 생각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휴대전화 뒤에 이름표 스티커를 붙이고 다녔다. 촬영을 하던 내내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고 했다. 윤찬영은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17세의 조건> <아무도 모른다> 등의 작품으로 얼굴을 알렸다.
<지금 우리 학교는>은 영화 <부산행>,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드라마 <킹덤>과 영화 <#살아있다> 등 K-좀비물의 뒤를 이을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세계 시청자들의 기대감 역시 이 포인트에 맞춰져 있다. 넷플릭스 공식 계정을 통해 공개된 예고편은 조회수 1172만회(26일 오전 11시 기준)를 기록하며 신드롬을 예고하고 있다.
오승훈 기자
vi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