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모럴센스’ 성적 취향과 범죄를 가르는 동의의 문제

등록 2022-02-26 19:00수정 2022-02-26 19:03

[정덕현의 OTT 충전소]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제공

뭐야, 너무 심심하잖아. 비디에스엠(BDSM)이라는 소재만으로 넷플릭스가 만든 한국 영화 <모럴센스>를 접했다면 이런 반응이 먼저 나올 법하다. 비디에스엠은 이 영화가 극 중 검색 장면으로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것처럼 Bondage(구속), Discipline(훈육), Sadism(가학), Masochism(피학)의 앞 글자를 딴 성적 취향을 뜻하는 용어다. 여기까지만 듣고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거짓말> 같은 영화를 떠올리는 분이 있을 거다. 하지만 <모럴센스>는 신체적인 가학과 피학인 에스엠(SM)보다는, 지배(Domination)와 복종(Submission)을 통해 갖게 되는 정신적 쾌감인 디에스(DS)에 맞춰져 있어 파격적인 행위 묘사는 나오지 않는다. 우리가 이 작품에서 생각해봐야 할 점은, 행위 자체가 아니라, 비디에스엠이라는 소재가 한국 작품에 자연스럽게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그것도 로맨틱 코미디에.

<모럴센스>는 사원 지우(서현)의 사무실에 비슷한 이름의 대리 지후(이준영)가 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지우가 지후의 택배를 잘못 받게 되면서 둘 사이 독특한 관계가 맺어진다. 지후는 자신의 성적 취향을 개의치 않는 지우에게 주인님이 되어달라 부탁하고 그래서 3개월짜리 계약 관계가 시작된다. 지우는 그 취향을 처음에는 100% 받아들이지는 못하지만, 지후를 조금씩 알아가면서 사적으로 만나 벌이는 ‘디에스 놀이’에 점점 빠져든다.

중요한 건 구속하고 구속당하는, 폭력으로 보이는 행위들이 폭력이 되지 않고 성적 취향이 될 수 있게 한 전제조건들이다. 지우와 지후가 계약서를 썼다는 것. 여러 항목들이 있지만 언제든 원치 않으면 행위를 멈출 수 있다는 게 계약서의 핵심 내용이다. 계약이 중요한 건 폭력과 성적 취향을 가르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서로가 ‘ 적극적으로 동의하고 합의’ 한 행위는 겉보기에 똑같은 행위더라도 폭력이 아닌 ‘성적 취향’ 이 될 수 있다. 영화에서 지우의 지인인 혜미 (이엘) 가 같은 성향인 줄 알았던 남자가 강압적으로 돌변할 때 “우리 여기까지는 합의 안 했잖아요” 라고 말하는 장면에는 그래서 작품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 바로 이 합의와 동의가 성적 취향과 폭력을 가르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걸 보여주기 때문이다.

<모럴센스>는 한발 더 나아가 이러한 합의를 전제로 한 성적 취향을 가진 관계와, 일반적이라 얘기되는 사이에서 합의 없이 선을 넘는 관계 중 무엇이 더 폭력적인가를 되묻는다. 두 사람만의 관계가 타인에게 알려지면서 이들의 ‘성적 취향’에 폭력적으로 가해지는 손가락질이 정상적인가 하는 질문도 던진다. 사전에 충분한 동의와 명확한 합의를 얻었는가를 묻는 ‘적극적 동의’는 이제 성폭력 사안에서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결국 <모럴센스>라는 영화가 담으려는 건 바로 이 개념을 전제로 한 성적 취향의 문제다.

이 작품을 두고 두 사람이 합의했더라도, 어쨌든 폭력적인 행위가 동반되는 사랑인데 이를 대중매체 소재로 삼아서는 안 된다거나, 폭력을 미화하는 것이라는 비판과 우려도 나온다. 세상 모든 것이 소재가 되는 온라인 동영상 시대(오티티)에 충분히 논쟁이 붙을 만하다. 그래서 아쉽다. 오히려 더 진정성 있게 잘 만들었더라면 여러 의견들이 오갈 수 있었겠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그 시도만큼은 참신하다. 특히 소녀시대의 순수한 이미지가 배우의 길에 걸림돌이 됐던 서현이 지우에 도전했다는 건 더더욱.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