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곤 문화부 장관 취임
“부동산 투기에 위장전입까지, 온갖 범죄경력을 가진 사람이 이 자리에 서게 되서 죄송합니다.”(웃음)
김명곤 문화관광부 장관이 27일 취임했다. 김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국회 청문회 과정에 대해 “전혀 합당하지 않은 문제로 논란이 생겨 아쉬웠지만 제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 (청문회가) 좀 더 정책적인 부분에 집중했다면 일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됐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류 동반자적 문화교류 힘쓰고
스크린쿼터 축소 대안 마련할것
신문 ‘공동배달제’ 활성화 고민 평소 추진하고 싶은 문화정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동반자적 한류 문화 확산과 해외 문화인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꼽았다. “한류가 세계적으로 뻗어가고 있는데, 지금까지 너무 경제적인 측면이나 문화제국주의적인 시각에 치우친 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시아 문화동반자로서 한류를 사랑하는 국가들과 진정한 문화교류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볼 생각입니다.” 이어 현장 예술가 출신답게 기초예술 지원, 문예진흥기금 활성화, 예술인 공제조합 등 복지제도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싶다고 말했다. 스크린쿼터에 대한 소신이 바뀐 것 아니냐는 비판에 대해서는 “영화를 사랑하는 영화인으로서의 제 소신은 이미 알려진 대로”라면서도 “그러나 정책 집행자로서 공적 신분이 되고나니 (처지가) 완전히 달라졌다”고 해명했다. “스크린쿼터 축소로 한국 영화가 위축되거나 더 나빠지지 않도록 현장의 영화인들과 함께 대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신문유통원에 대해서는 “공동배달제라는 것이 국민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시작하는 것이므로, 어떻게 하면 본래 취지에 어긋나지 않게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광주문화중심도시와 관련해서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라는 개념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만 이로 인해 다른 분야의 예산이 축소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열린 취임식에서 그는 미리 준비한 원고를 읽었다. “저는 그동안 ‘광대’라는 말을 자주 써 왔는데 제가 해석하는 광대는 남을 웃기고 즐겁게 해주는 ‘어릿광대’의 의미를 넘어서서, “넓고(廣) 큰(大) 영혼으로 시대의 고통과 불화에 정면으로 마주서서, 인간에 대한 사랑을 온몸으로 감싸안고 표현하는 상생의 창조자를 말합니다. 우리 모두 새로운 ‘광대정신’으로 무장하여 시대 변화의 한복판에서 치열하게 문화 행정을 펼치는 광대가 되어 주셨으면 하는 바람을 제시해 봅니다.” 대사를 외듯 억양에 변화를 주어가며 읽어내려 가는 모습은 마치 그가 <대한민국>이라는 연극에서 장관이라는 극중 역할을 맡은 것처럼 보였다. “문화관광부 동지 여러분”이라는 표현은 직원들 사이에 화제가 됐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스크린쿼터 축소 대안 마련할것
신문 ‘공동배달제’ 활성화 고민 평소 추진하고 싶은 문화정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동반자적 한류 문화 확산과 해외 문화인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꼽았다. “한류가 세계적으로 뻗어가고 있는데, 지금까지 너무 경제적인 측면이나 문화제국주의적인 시각에 치우친 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시아 문화동반자로서 한류를 사랑하는 국가들과 진정한 문화교류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볼 생각입니다.” 이어 현장 예술가 출신답게 기초예술 지원, 문예진흥기금 활성화, 예술인 공제조합 등 복지제도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싶다고 말했다. 스크린쿼터에 대한 소신이 바뀐 것 아니냐는 비판에 대해서는 “영화를 사랑하는 영화인으로서의 제 소신은 이미 알려진 대로”라면서도 “그러나 정책 집행자로서 공적 신분이 되고나니 (처지가) 완전히 달라졌다”고 해명했다. “스크린쿼터 축소로 한국 영화가 위축되거나 더 나빠지지 않도록 현장의 영화인들과 함께 대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신문유통원에 대해서는 “공동배달제라는 것이 국민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시작하는 것이므로, 어떻게 하면 본래 취지에 어긋나지 않게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광주문화중심도시와 관련해서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라는 개념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만 이로 인해 다른 분야의 예산이 축소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열린 취임식에서 그는 미리 준비한 원고를 읽었다. “저는 그동안 ‘광대’라는 말을 자주 써 왔는데 제가 해석하는 광대는 남을 웃기고 즐겁게 해주는 ‘어릿광대’의 의미를 넘어서서, “넓고(廣) 큰(大) 영혼으로 시대의 고통과 불화에 정면으로 마주서서, 인간에 대한 사랑을 온몸으로 감싸안고 표현하는 상생의 창조자를 말합니다. 우리 모두 새로운 ‘광대정신’으로 무장하여 시대 변화의 한복판에서 치열하게 문화 행정을 펼치는 광대가 되어 주셨으면 하는 바람을 제시해 봅니다.” 대사를 외듯 억양에 변화를 주어가며 읽어내려 가는 모습은 마치 그가 <대한민국>이라는 연극에서 장관이라는 극중 역할을 맡은 것처럼 보였다. “문화관광부 동지 여러분”이라는 표현은 직원들 사이에 화제가 됐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