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서울 회기동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열린 농촌사회학회 특별 심포지엄.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농촌사회학회 심포지엄
“소비자 연대 농민운동을”
“소비자 연대 농민운동을”
세계화에 맞서는 대안은 지역화다. 세계를 향한 문을 걸어 잠그자는 억지가 아니다. 문을 열되 안방은 지키자는 이야기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의 위협 앞에 서 있는 한국 농업의 살 길도 지역화다. 한겨레신문사가 후원하고 한국농촌사회학회가 주최한 특별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입을 모은 결론이다. 지역화 전략의 대표 깃발은 ‘먹거리 정치’다. 단순히 농업의 위기가 아니라 먹거리 위기에 주목하는 새로운 ‘먹거리 연대’의 전략이다.
지난 18일 서울 회기동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열린 행사에 학자·정책전문가·시민단체·소비자단체 관계자들이 함께 모여 앉았다. 지역농업과 유기농업의 만남을 궁리했다. 박진도 충남대 교수와 김종덕 경남대 교수가 지역농업의 대안을 제시했다. 박영숙 한국여성민우회생협 이사장과 박명숙 환경정의 다음지킴이 팀장은 유기농업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김철규 고려대 교수는 이 둘을 엮는 ‘먹거리 정치’를 말했다.
박진도 충남대 교수가 먼저 자리를 깔았다. “지역이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는 내발적 발전을 추구하면서 지역농을 조직화하는 것이 대안”이라고 말했다. 김종덕 경남대 교수는 “산업화된 세계 식량체계와 생태적인 지역 식량체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구자인 진안군청 정책팀장은 “지역자급 순환경제는 지역 안에서 완결을 추구하는 게 아니라, 지역 내외부 유통의 균형을 도모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구상은 친환경 유기농의 전망과 만나 힘을 얻을 수 있다. 박명숙 환경정의 다음지킴이 팀장은 “먹을거리의 세계화가 곧 질병의 세계화로 나타났다”며 “환경성 질환을 막기 위해 학교·노조 등 큰 기관은 물론 영유아 보육시설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안전한 먹거리를 공급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철규 고려대 교수는 “한-미 에프티에이가 단순히 무역의 문제가 아니라 먹거리 위기의 문제라는 인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소비자연대적 농민운동을 활성화시켜 농민과 도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먹거리 정치’를 펼쳐야 한다”고 밝혔다.
논의는 자연스럽게 먹거리 연대를 실현할 방안을 제안하는 것으로 나아갔다. 박영숙 한국여성민우회 생활협동조합 이사장은 “소비자·생산자·기업·노동자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협약을 추진하자”고 말했다.
글·사진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