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월곡동 성매매업소 집결지 화재사건 생존자) 여성들은 내가 직접 관리한다. 직접 관리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8일 여성부 출입기자와 한 오찬 자리에서 장하진 장관은 이렇게 말했다. 장 장관은 화재사건 뒤 그곳 생존자 여성 4명에 대해서 “내가 직접 관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관리하겠다”는 뜻을 이전에도 여러번 밝힌 바 있다. 실제로 장관은 쉼터에 있는 이들 여성들과 자주 통화하고 있으며 외출할 때 자신에게 보고하도록 당부까지 했다.
이에 앞서 장 장관은 지난달 30일 열린 기자 브리핑에서 “학력을 증진시키거나 기술교육을 하는 것이 실질적인 자활대책이 아니다”라고 했다. 취업을 위한 일대일 맞춤교육을 하겠다는 설명이었다. 불과 그 며칠 전 성매매방지법 시행 6개월을 맞아 벌인 브리핑에서 검정고시를 통과한 여성들의 수를 밝히기까지 했던 여성부로서는 획기적인 정책의 변화를 예고한 셈이다. 장 장관은 “실질적인 자활 대책을 일주일 뒤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열흘쯤 지나 8일 여성부가 내놓은 ‘실질적 자활대책’은 이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기자들이 “뭐가 새로운 정책이냐? 달라진 것이 없다”고 하자 여성부 장관은 “자활 대책은 빨리 성공할 수 없다”며 한발 뒤로 물러섰다. 일대일 맞춤교육에 대해선 대략적인 틀거리조차 발표되지 않았다.
장관이 ‘직접 관리’를 시작한 탈성매매 여성 중 한명에 두고 “아이까지 있는 엄마가 식당에서라도 일하지 왜 그곳에서 일했는지 모르겠다”고 한 말은, 장관의 현실 인식이 너무 이상적이지 않은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하기도 한다. 현장의 목소리는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장관의 구실은 현장과 정책을 연결시키는 일이다. 장관이 탈성매매 여성들을 언제까지 얼마나 ‘직접 관리’ 할 수 있을까. 탈성매매 여성의 수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좀더 중요한 문제는 수십억원의 정부 예산이 쓰일 자활대책에 대해 철저한 검증 절차를 밟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일이다. 6s이유진 문화생활부 기자 fr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