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이사람] 작가된 ‘만화키드’ “소설? 그냥 썼지요”

등록 2010-08-24 18:52수정 2010-08-25 09:27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 ‘합★체’ 작가 박지리씨
한달만에 완성한 첫번째 작품
키작은 쌍둥이 형제의 성장담
“계속 쓴다면 재미에 중점둘 것”

스물다섯, 1985년생. ‘학번’으론 ‘공사 학번’이다. 2004년 들어간 대학에선 역사를 공부했다. 글쓰기 동아리에 들거나, 소설 창작 교실 한 번 다녀본 적이 없다. 지난해 봄, 대학을 졸업하고 나니 (취업도 안 되고) 할 일이 없었다. 그래서 글을 썼다. 이것저것 써보다가, 한 달 만에 난생 처음 완성한 소설을 응모한 것이 깐깐하기로 소문난 사계절문학상의 제8회 대상 수상작이 되었다. <합★체>의 작가 박지리([♣사진♣])씨는 어릴 적 소설가가 되겠다는 꿈은 꿔본 적도 없다고 했다. 처음 쓴 소설로 등단까지 하다니, 숱한 문예창작과 작가지망생들에겐 속이 터질 노릇이다.

 그는 왜 하필 소설을 썼을까? 박지리씨는 “그냥”이라고 답한다. “만화가가 되고 싶었지만 그림을 너무 못 그려서요.” 영향을 받았거나 좋아하는 소설가는? “별로 소설을 안 읽어요. 빨리 읽지를 못해요. 읽은 작품 가운데 고르라면 박민규의 <삼미슈퍼 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좋아해요. 왜냐구요? 재밌으니까요. 제가 글을 계속 쓴다면 첫 번째로 염두에 두는 게 재밌는 것이 될 것 같아요.”

 <합★체>는 난쟁이 아버지를 둔 탓에 엄청나게 키가 작은 고등학생 쌍둥이 형제‘합’과 ‘체’의 코믹 발랄하되 가슴 따듯해지는 성장담이다. 제목에서 ‘변신로봇의 합체’ 같은 낱말을 떠올리게 하는 이 소설은 ‘아버지는 난쟁이였다’로 시작한다. 1970년대 도시 산업화에서 떠밀린 빈민의 삶을 형상화한 조세희씨의 저 유명한 소설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을 소설의 모티브로 깔고 있다. <난쏘공>에 바치는 오마주일까?

 “딱히 난쏘공을 모티브로 삼은 건 아니에요. 그냥 키 작은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쓰다 보니까 난쏘공을 빌려오게 되었어요.”

 <합★체>는 ‘키가 컸으면’ 하는 바람이 ‘지상 최대의 목표’가 된 ‘오체’와 ‘오합’ 형제가 우연찮게 맞닥뜨린 계룡산 출신 약수도사 할아버지로부터 ‘키크는 비기’가 있다는 말을 듣고서는 33일 방학기간 동안 계룡산의 동굴에서 모험과도 같은 수련에 나선다는 줄거리를 담고 있다. 그 수련의 결과 이들은 과연 키가 클 수 있었을까?

 키로는 반에서 거꾸로 1, 2등을 다투지만, 합체 형제의 캐릭터는 천양지차. 형 ‘합’은 차 안에서도 영어사전을 끼고 공부할 정도로 전교 우등생이고, 동생 ‘체’는 공부는 꼴등이지만 몸을 쓰는 일이라면 댄스도, 농구도 자신 있는 아이다. 그런 체에게도 마음 속 영웅이 있었으니, 바로 체 게바라다. 주인공 ‘체’에게 게바라는 “세상을 뒤집어 버린 혁명을 이룬 남자”이다. 작은 키 콤플렉스에 빠진 주인공 체에게 혁명이란 ‘키작은 놈은 커지고 키큰 놈은 작아지는’ 한판 뒤집기다.

 소설은 난쏘공과 혁명가 체 게바라를 버무리고 요사이 외모지상주의 세태를 상쾌하게 비틀지만, 작가는 이런 요소들을 인과관계로 해석하려는 시도를 거부한다. “딴 글을 쓰다 문득 합체라는 말이 떠올랐어요. 주인공 이름이 ‘체’니까 체 게바라도 갑자기 떠올랐고요.”


 박씨는 <21세기 소년>이랄지, <배가본드>랄지 만화라면 숱하게 읽었다고 했다. 하루 아침에 소설가로 등단한 ‘만화 키드’랄 수 있다. 그의 소설 쓰기는 이제 시작됐지만, 그 자신은 작가라는 지칭이 쑥스러운 듯했다. “걱정스럽고요, 복잡…하지는 않은데, 집에서도 엄마가 자꾸 작가라고 그러는데 너무 싫은 거예요. 백수잖아요, 솔직히.”

글 허미경 기자 carmen@hani.co.kr, 사진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