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카스테라의 정서

등록 2012-05-05 13:16

<한겨레21> 정용일
<한겨레21> 정용일
[책장 찢어먹는 여자] 박민규의 ‘카스테라’
1980년대 중반 무렵 우리 동네 엄마들 사이에 카스테라팬 공동 구매 바람이 분 모양이었다. 전기를 꽂아쓰는 엄청 커다랗고 깊은 프라이팬 같은 것이었는데, 그야말로 방석만 한 카스테라를 만들 수 있었다. 엄마는 계란과 우유와 밀가루를 쏟아넣고 빵을 구웠다. 그때 집에서 그 빵을 먹을 사람은 나밖에 없었다. 바로 아래 동생이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인가 그랬고, 아빠는 출장이 잦았다. 엄마는 빵을 만들다가 이미 냄새에 질렸다. 맛은 좋았지만 끝까지 다 먹은 기억은 없다. 이웃에 나눠주려 해도 그럴 수 없었다. 왜냐하면 엄마랑 친한 아줌마들은 다 공구했으므로. 그렇게, 거대한 카스테라는 두 번인가 우리 집에 나타났다가 홀연히 모습을 감췄다.

그러나 카스테라는 내게 엄마와 단둘이 낮 시간을 보내던 어린 시절을 추억하게 한다. 바닷가 동네였다. 카스테라의 달고 고소한 향을 맡으면 그 시절 동네에서 맡은 바다 향이 물씬… 까지는 뻥이고, 어쨌거나 놀 걱정이 전부였던 그 시절이 생각나 기분이 좋아진다.

박민규의 소설 ‘카스테라’는 마지막 장에 이를 때까지 카스테라의 달고 고소한 향과는 무관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독신의 주인공은 처음엔 소음이 심한 냉장고와 좁은 공간을 나눠쓰는 게 불쾌하기 짝이 없었다. 갖은 방법으로 소음을 줄여보려 노력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고, 주인공은 냉장고에 오히려 우정 같은 걸 느낀다. 그는 냉장고의 원리, 구조, 역사 등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냉장의 역사란 부패와의 투쟁’이었다는 지점에서 그는 이 ‘환상적인 냉장시대’에 냉장고에 맥주캔과 김치통, 우유팩 따위를 채워넣는다는 게 좀 부끄러워졌다.

냉장고를 깨끗이 청소하고 가장 먼저, 자신이 꼽은 걸작 <걸리버 여행기>를 냉장실 정중앙에 조심스레 넣었다. 인류를 위해 오래오래 걸리버가 보관되길 바라며. 다음으로는 아버지를 넣었다. 아버지는 “누구나 소중하다고는 하지만 분명한 세상의 해악”이기도 한 복잡한 존재다. 다음으로 어머니, 학교, 동사무소, 신문사, 오락실, 미국, 맥도날드, 중국 등이 줄줄이 냉장고 안으로 들어갔다.

그렇게, 냉장고 속에 또 하나의 세계가 완성됐을 무렵, 새로운 세기가 도래했다. 모든 일상은 그대로였지만 단 하나 달라진 게 있다면 웅웅대던 냉장고가 고요해졌다는 것. 놀란 주인공이 냉장고 문을 열어보니 아버지, 어머니, 세상의 온갖 것들로 가득 차 있던 냉장고는 텅 비었다. 오직 냉장실 정중앙에 반듯한 카스테라 한 조각만 놓여 있었다. 한입 베어무니 부드러운 향이 입과 코를 지났고, 그것은 모든 것을 용서할 수 있는 맛이었다고 주인공은 말한다.

같은 사물이라도 사람들은 자신의 처지에 따라 감정을 달리하게 마련이다. 소설 속 주인공은 앞으로 카스테라 향을 맡으면 화해나 용서 등의 감정이 생각날까. 어젯밤 이 소설을 읽으며 나의 처지에서 든 생각은, 개요와 문장 몇 개를 털어다 냉장고에 넣어두면 아침에 카스테라처럼 반듯한 원고가 냉장실 정중앙에 놓여 있기를. 아우, 오늘도 마감 꼴찌다.ㅠㅠ

신소윤 기자 y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유시민, 이정희 향해 회의방식 항의 “지금 뭐 하는 짓이냐”
훈련 도중 말이 죽어도…“비싼데 아까웠죠”
‘○○저축은행’ 주가 줄줄이 곤두박질
난리 난리, 천광청 사건은 무슨 난리래요
검찰의 칼끝은 이상득 의원 겨눌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