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년 만에 현실에 맞게 개정
글쓰기 환경이 컴퓨터와 인터넷 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1988년 처음 선보인 원고지 중심의 현행 한글 문장부호가 대폭 손질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7일 문장 부호 용법을 보완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글맞춤법 일부개정안을 고시했다.
개정안은 그동안 온점(.)과 반점(,)으로 불렸던 문장부호 명칭을 각각 마침표와 쉼표로 혼용해 부를 수 있도록 했다. 또 마침표의 경우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도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 “지금 바로 떠나자.”라며’가 옳은 표기법이었으나, 개정안이 시행되면 ‘ “지금 바로 떠나자’라며’도 옳은 표기법이 된다.
공식으로 아래 여섯 점(......)으로 표기해온 줄임표도 아래 여섯 점을 찍거나, 중간 세 점(…) 또는 아래 세 점(...)을 찍는 것도 가능하도록했다. 아울러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 또는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쓰는 가운뎃점(·)은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혼용해 쓸 수도 있도록했다. 상·중·하위권, 상 중 하위권, 상,중,하위권이 모두 올바른 표기법이 된다.
문체부는 “개정안은 이전 규정에 맞추어 쓰더라도 틀리지 않도록 하되, 현실적인 쓰임새에 맞도록 허용 규정을 대폭 확대해 혼란을 최소화하고 규범의 현실성을 높였다”며 “사용자 편의와 활용성을 높이는 데 역점을 뒀다”고 말했다. 개정안은 2015년 1월1일부터 시행된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